[변평섭 충남역사문화연구원장]
금강하굿둑에 막혀 막대한 피해
물은 썩어가고, 갯벌은 죽어가고 … 정부가 全北과 相生길 서둘러야

요즘 들어 서천군민들의 몸부림이 너무도 안쓰럽다. 그리고 사태가 절박하게 느껴지는 것은 충남의 끝자리에 있는 서천군민의 외침에 중앙정부가 소극적이며 정치권도 힘을 보태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지난 2월 17일 서천군청 회의실에서는 성난 주민대표들이 모임을 갖고 '금강하구 해수유통 추진협의회'를 개최, 목청을 높였다. 한마디로 금강을 1800m의 제방으로 막고 있는 하굿둑을 뚫어 바다의 물길을 열어 달라는 호소다. 이날 회의에서는 '물길'을 뚫기 위한 향후 활동과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금강의 물길을 열어 달라는 요구에 정부가 시원한 대안을 마련하지 않고 인근 군산시와 전라북도는 한 마디로 냉정하게 거절하고 있기 때문에 이런 대응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사실 금강하구에서 밀물과 썰물이 오르락내리락하는 자연현상을 괴물 같은 하굿둑으로 차단하기 때문에 생기는 재앙은 엄청나다.

특히 금강하굿둑 갑문이 금강의 중심에서 보았을 때 20개 모두 군산 쪽으로 되어있어 서천 쪽 하구와 갯벌이 죽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서천군 측에서는 이 때문에 연간 80만m²의 제방안 토사퇴적이 쌓이는 심각한 상황이고 이를 관할하는 농어촌공사가 토사준설에 쏟아 붓는 돈이 200억 원 이상이 되며 서천군 쪽 갯벌은 아무것도 잡히지 않는 '죽은 갯벌'이 되고 있다는 주장이다. 폭 9m의 어도(魚道)가 있지만 제 기능을 못해 바닷물이 민물과 만나는 곳에서 잡히던 그 유명한 황복, 위어, 뱀장어, 참게도 자취를 감춰 어민들의 피해는 심각한 지경.

뿐만 아니라 금강하구 수질이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7.2mg/L로 악화된 것 역시 해수와 민물의 교류가 인위적으로 차단됐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한마디로 서천의 물은 썩어가고 갯벌은 죽어가고 있는 것.

그래서 서천군 측에서는 서천군 방향으로 배수갑문을 추가로 설치하여 해수를 유통시키자는 것이다.

그러나 전라북도 측은 군산시의회가 지난 2월 16일 서천군의 금강하굿둑 해수유통을 반대하는 결의안을 채택하는 등 강경하다. 해수유통시 민물에 바닷물이 섞이면 전북지방의 1억7700t에 이르는 농업용수와 공업용수 연간 2900만t을 쓸 수 없다는 게 그 이유다. 물론 전북으로서도 다급한 일이다. 그러나 전라북도를 위해 서천군은 무한정 희생을 치르고 살아야 할 운명이란 말인가. 아니다. 양쪽 모두에게 해답이 될 방안이 있을 것이다.

다행히 3월 26일 충남·대전·충북·전북지역을 망라하는 시민단체 금강유역환경회의에서 '금강하구역의 수질개선 갈등해소 및 유역상생방안'에 대한 토론회가 있었는데 전라북도 측 인사들도 금강의 해수유통에 동조하는 목소리가 있었다고 한다. 전남대의 한 교수는 '강은 흘러야 하고 막히면 더 이상 강이 아니다'고 했다. 맞는 말이다.

그러나 이런 주장이 민간차원에서가 아니라 정부차원으로 확대돼야 한다.

사실, 정부에서 4대강 살리기 사업의 하나로 '금강 살리기' 사업을 무리를 해가면서 강행한 것도 수질오염을 막고 생태계를 살린다는 명분이 들어 있었다. 하지만 해수유통을 해결하지 않고는 금강하수는 살아나지 못할 것이다. 그야말로 강이 막히면 강이 아니다.

그것이 자연의 순리요 법칙이다. 서천군도 살고 전라북도도 사는 공생(共生)의 길을 찾아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