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구장비·물자부족, 재난관리시스템 결여

평북 용천역 폭발 참사 피해복구 작업이 본격화되고 있으나 희생자와 가옥 파손이 대규모인데다 복구 장비 및 물자가 턱없이 부족해 도시가 정상화되기까지 엄청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국제적십자사연맹(IFRC) 등 국제 구호·복구 단체들은 "재해복구에 1년 이상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늘어나는 피해=유엔기구 중심의 국제 조사단은 1차 조사결과 용천역 인근 거주민과 근로자 2만 7000여명 가운데 8000여명의 이재민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했다. 재산상 피해는 가옥 약 1850채가 파괴된 것으로 잠정 집계했다. 용천군 도심 가옥의 40% 규모다.

용천역 반경 500m 이내 건물은 완전히 파괴돼 형체조차 짐작하기 힘들며, 반경 4㎞ 내의 공공건물 129곳이 파손됐다. 반경 10㎞ 이내의 건물도 유리창과 담벼락 등이 파손됐다.

사상자 수도 크게 늘어날 것 같다. 부상자 가운데 300명이 중태지만 즉시 치료를 받기 어려운 형편이다. 1990년대 중반 식량난 이후 사실상 붕괴된 북한의 의료 체계로는 감당하기 힘든 상황인 것이다.

복구 전망=북한 당국은 용천군 재해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군을 긴급 복구작업에 동원하는 등 사태 수습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하지만 중장비 등 복구 장비의 부족으로 인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나마 있는 중장비도 유류가 태 부족하고 낡아 100% 가동되지 않고 있다. 복구 인력들이 삽으로 작업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제기구들이 찍은 소달구지와 수레 등이 동원된 동영상 장면 등으로 미뤄 피해 복구는 장기전으로 갈 수밖에 없음을 짐작케 한다.?

게다가 북한에 평소 재난에 대비한 국가적 시스템이 갖춰져 있지 않아 복구작업은 더욱 더뎌질 수밖에 없다.

단기적으로는 이재민의 숙식 보장, 장기적으로는 생활 안정과 주택 및 시설 복구 등에 대대적인 지원이 필요하지만 북한 당국의 능력으로는 감당하기 힘들다는 것이 국제기구 등의 분석이다. 사고 관련 업무처리를 하는 각 지역 노동성과 각 도의 인민위원회 노동행정국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에 따라 탈북자들은 용천돕기와 관련, "국제 사회가 주택 및 시설 복구와 생필품을 지원해주는 것만으로도 이재민 생활은 크게 안정될 것"이라는 의견을 내고 있다. 국제적십자사연맹은 "남한과 국제사회의 전폭적인 지원만이 피해복구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