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4월 1일이면 칠레와의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안의 발효로 수입 농산물의 공세가 본격화될 전망인데도 대전·충남 농가들은 이에 무방비 상태다. 이미 대전·충남은 때 아닌 3월 폭설로 인해 폐허가 되다시피 했고, 올 들어 각종 농기계, 비료, 비닐 등의 농자재 가격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줄줄이 인상돼 농민의 부담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이제는 값싼 수입 농산품으로 인해 국내 농산물은 시장에서조차도 설자리를 잃을 처지다. 폭설, 원자재, FTA라는 삼고(三苦) 현상으로 고사 위기를 맞고 있는 농촌을 두고만 볼 것인가.

폭설대란으로 인해 자연재해를 입은 농가에 대해 시행하고 있는 정부지원 대책이란 것은 고작 생계지원금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시설농가들이 복구에 대한 구슬땀을 흘리고 있지만 이미 농업자재 값이 인상될 대로 인상돼 복구가 지연되고 있고, 심지어 피해를 입지 않은 농가들조차도 생산비 증가로 아예 새로운 농작물 경작은 엄두도 내지조차 못하는 상황까지 치달았다. 게다가 우리나라와 FTA를 체결한 칠레는 과일 경쟁력이 세계 1, 2위를 다툴 정도의 농업강국이어서 가격도 국내산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의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우려했던 대로 우리 농촌에서는 농사를 포기하는 농민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니 걱정이 아닐 수 없다.

농업은 생명이다. 농업은 한 나라의 주권과도 같아서 국가적 차원에서 결코 포기할 수 없는 소중한 분야다. 더 큰 문제는 현재 제시되고 있는 해결방안들이 그 어느 것 하나도 농민들의 시름을 벗겨 줄 것 같지 않다는 데 있다. 정부 방안은 고작해야 기존의 것들을 답습하는 정도이고 보면 더욱더 그렇다. 한 나라가 건강하기 위해서는 농촌부터 건강해야 한다. 머지않아 전 세계는 '식량전쟁'을 치러야 할 때가 올지도 모른다. 농촌 살리기는 정부나 농민만의 몫은 아니다. 우리 모두의 몫인 것이다. 더 늦기 전에 농촌 살리기에 적극적으로 동참해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