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의 현안인 대전 역세권 개발사업의 윤곽이 드러났다. 대전역 주변 15만평의 부지에 총 6500억원을 들여 공공청사와 컨벤션센터, 주상복합시설 등을 건립한다는 게 철도청 용역 결과의 주요 골자다. 3단계로 나눠 추진되는 역세권 개발사업의 1단계 사업인 주거단지와 컨벤션센터는 올 연말 착공 예정이다. 대전 원도심을 획기적으로 바꿀 역세권 개발사업이 시작된 셈이다.

대전 역세권 개발사업은 침체일로를 걷고 있는 동구와 중구의 발전을 가늠한다는 상징성을 띤다. 단순 재개발을 떠나 복잡·미묘한 여러 사안이 얽히고 설켜 있다. 표면에 드러난 것만 해도 동서 관통도로와 경부고속철도 통과방안, 원도심 활성화 등 한두 가지가 아니다. 어느 하나 소홀한 게 없다. 이들 사안을 어떻게 유기적으로 연계하느냐가 대전 역세권 개발사업의 관건이다.

따라서 이 사업의 성공 여부는 철도청과 대전시, 동구청 등의 굳건한 협조체제에 달려 있다 해도 무리는 아니다. 대전시도 철도청과는 별도로 역 주변 18만 1000평에 대한 개발 밑그림을 그리고 있으며, 동구청 또한 역을 중심으로 주거환경 개선사업을 도모하고 있음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원도심 활성화와 직접 관련된 대전 역세권 개발은 둔산 신도시 개발로 침체된 기존 도심의 경제력을 되찾고, 경부고속철도 개통에 따른 역 주변의 급격한 개발 수요를 감안하지 않으면 안된다. 여기서 지나쳐서는 안될 부분이 환경문제다. 개발만을 염두에 둔 나머지 도심환경을 간과하는 또 다른 우를 범하지 않길 바란다.

시설배치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공공 및 일반 업무시설은 물론이고 주거와 상업시설의 조화로운 배치가 요구된다. 다만 고속철도 개통으로 서울과의 거리가 40여분대로 좁혀지는 만큼 수도권 예속화란 역효과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개발이 진행돼야 마땅하다. 대전 역세권의 자족기능 수행을 강조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대전 역세권 개발은 원도심의 사활이 걸린 사업임을 명심하고 신중을 기해 추진해 주길 당부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