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열

김병현 대전지검 공주지청장이 지난 23일 '공직자 특별교육'의 초청인사로 나와 조목조목 지적한 내용을 살펴보면, 공주시가 해결해야 할 절박한 과제가 비교적 소상하게 드러난다. 공주시민들은 지역 명문고 얘기만 나오면 자녀 중 불과 소수만이 진학할 수 있어 별로라는 얘기를 하고, 식당은 관광도시 이미지와는 다르게 서비스가 사실상 전무하다는 경험담 등 숱한 사례가 열거됐다. 뛰어난 역사문화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면서도 효율적인 마케팅을 하려는 계획도, 외지 기관장 및 지역에 입주한 외지업체 등과의 상생노력도 빈약하다는 점도 지적됐다. "공주사람들은 보수적인 게 아니라 수구적"이라는 그의 표현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공주는 사실 정부가 고도보존육성특별법 등을 통해 경주, 부여, 익산 등과 함께 한국의 차별화된 성장동력으로 키워가려는 4대 고도(古都) 중 하나다. 하지만, 역사문화관광도시로서의 위상은 초라하기 이를 데 없다. 관광정보지식시스템에 따르면 올 들어 9월까지 공주 유·무료 방문객 수는 360만 명으로, 충남 방문객 8075만명의 4.5%에 불과하며, 부여(410만명)와 경주(1648만명)에도 뒤진 상태이다. 숙박, 음식, 놀이, 쇼핑 등 변변한 인프라 하나 갖추고 있지 못한 공주로서는 ‘적은 수준’은 방문객들로부터 건질 수 있는 것조차 별로 없다는 게 더욱 심각한 문제다. 공주는 '그렇고 그런' 도농복합도시일 뿐이라는 자조섞인 푸념은 그래서 나온다.

"공주시 공무원과 시민 등이 노력하지 않는 게 아니라, 생각나지 않는 것이 문제"라는 김 지청장의 지적은 공주 지역사회를 바라보는 외부의 인식의 뭔지 단적으로 드러난다. 2011년도 예산안 심의과정을 통해 드러난 공주시청과 공주시의회 간 현격한 시각차도 그 한 사례다. 누구의 잘잘못 보다 대화와 설득을 통한 민주적 의사결정시스템이 제대로 작동되지 못함은 물론 지역발전에 대한 최소한의 공감대조차 형성하지 못하고 있는 증거다. 세종시 출범과 내포신도시 조성 등으로 '위기와 기회'가 눈앞에 닥친 긴박한 현실 앞에서 공주 공직자와 시민은 언제까지 '우물안 개구리'로만 있을 것인지 다시 한번 곱씹어 봐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