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활동 외면한채 시민교육·체험 위주 운영
市 “시민관심도 중요” … 관람객 목표 상향조정

대전시 17개 무형 전통문화의 체계적인 전승활동을 목적으로 건립된 '대전 무형문화재 전수관'이 정작 무형문화재 지정 보유자들에게 외면받으며 '기형적' 운영을 거듭하고 있다.

무형문화재 지원시설 부족 등 전승활동을 고려하지 않은 채 지어진데다 전시성 시민 교육·체험 위주로 운영되고 있어 무형문화재 지정 보유자들의 전수활동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22일 대전시 무형문화재 지정 현황에 따르면 웃다리농악(대전시무형문화재 1호), 대전의 앉은굿, 상모제작장 사망), 유천동산신제(보존회), 장동산디마을탑제(보존회), 불상조각장, 소목장, 매사냥, 송순주, 호 연안이씨가각색편, 단청장, 악기장(북메우기), 들말두레소리, 가곡, 승무, 초고장, 판소리고법, 악기장(가야금제작) 등 17명이 지정돼 있다.

하지만 각 지정부문과 관련한 연습실이 아예 없거나 협소하고, 시연과 전수를 위한 장비도 갖춰져 있지 않아 전수관 흉내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지역 내 60여 명의 전수후보·장학생의 전승 공간 부족으로 다양한 전승 부분들이 사장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한 무형문화재 기능부분 무형문화재 보유자는 "작품 활동과 관련된 장비구비가 전혀 돼 있지 않아 행사·교육이 아니면 전수관을 찾을 일이 없다"며 "이벤트 행사로 일반인들만 모여들게 할 것이 아니라 미흡하더라도 기본 장비 마련 등 무형문화재 지정 보유자들의 전승활동에 있어 공간 마련 등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반면 시는 일반인 관람객 유치활동에만 열을 올리며 '해설이 있는 무형문화재', '토요상설무대' 등 다양한 프로그램운영과 홍보로 올해 관람객 목표인원을 1만 명으로 상향 조정해 놓은 상태다.

시 관계자는 "지난해 4월 전수관 개관 이후 시민들의 무관심으로 어려움을 겪고 이제야 정상궤도에 오른 것"이라며 "교육·체험을 통해 대전지역 무형문화재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을 이끌어 내는 것도 중요한 부분이라고 판단, 홍보를 펼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당초 전수관이 예능중심으로 지어져 기능중심 무형문화재 보유자들이 활용 할 수 없다는 것에 문제를 감지하고 있다"며 "각 부문 기능보유자들이 전수관 이용을 왕성하게만 이용한다면 예산한도 내에서 지원해주겠다"고 덧붙였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