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새학기부터 전체 초·중·고교의 9.7%인 1023개 학교가 주5일 수업을 실시한다. 대전과 충남은 23개교와 73개교가 대상학교로 결정됐다. 재작년 7월부터 은행권이 주5일 근무제를 도입한 데 이어 각급 학교에서 주5일 수업이 실시됨으로써 우리 사회에서도 주5일제가 선택의 여지 없는 제도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주5일 근무는 행정자치부 등에서 시범 실시되면서 일반 제조업체를 포함한 사회 각 분야에도 점차 확산조짐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어차피 실시할 수밖에 없는 주5일 수업이라지만 시기적으로 문제는 없는 것인지 생각케 한다.

각급 학교의 주5일 수업은 내년부터 모든 학교에서 의무적으로 실시한 뒤 20인 이상 모든 사업장에서 주5일 근무제가 적용되는 2008년부터 전면 실시하는 것으로 예고되고 있다. 그러나 주5일 수업을 이렇게 서둘러서 그러잖아도 문제가 많은 학교 교육에 또 다른 혼란은 생기지 않을 것인지 의문이다. 주5일 수업은 주5일 근무제가 어느 정도 정착된 뒤에 실시해야만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일본이 제도 정착에 10년의 적응기간을 가졌다는 경험을 되살릴 필요가 있다. 주5일 수업이 행자부 등에서 시범 실시하고 있는 것과 같은 시험대가 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 아니다.

주5일 수업을 앞두고 수업일수를 어떻게 조정하느냐의 문제가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대전시는 현재 휴무일 만큼 방학을 단축하기로 했고, 충남은 연간 수업일수(220일)의 10%를 줄이기로 했다지만, 혹시라도 주5일 수업의 취지에 어긋나지 않는지도 따져 봐야 한다. 수업일수의 조정은 단순히 학생들이 학교에 가는 날짜를 줄이는 데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 학습량과 직결되기 때문에 다른 학교와의 형평성도 염두에 둬야 한다. 이 밖에도 학생지도 공백과 학력 저하, 사교육비의 증가와 휴무일에도 정상 출근해야 하는 교사들의 이중고 등 문제점에도 명쾌한 해법이 있어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