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량 급증불구 채취업자 관리

대전·충남지역 건설현장에서 사용하는 골재중 바다모래 비중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나 이에 따른 대비책이 미흡, 부실공사가 우려되고 있다.

바다모래의 사용이 이미 일반적 현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바다모래의 품질관리는 건설교통부가 채취장에 대해 간헐적 점검을 하는 것 외에는 전적으로 채취업자에게 맡겨져 있어 관리감독 강화가 시급하다.

현재 바다모래는 채취업자는 세척과정을 거쳐 염분을 완전히 제거한 후 품질보증서를 첨부해 각 레미콘업체에 공급하고 있다. 물론 제품에 대한 품질보증은 채취업자의 몫이다.

과거와 달리 세척 기술과 설비 수준이 향상돼 바다모래를 건설자재로 사용해도 무관하다는 것이 정부와 지자체의 입장이지만 막상 시민들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채취업자가 전담하고 있는 염도측정 업무를 정부나 지자체가 직접 관장해 안전성을 배가시켜야 한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시민 김모씨(40·서구 둔산동)는 "아무리 기술과 설비가 향상됐더라도 바다모래가 건설자재로 사용된다는 것은 불안하기 짝이 없다"며 "바다모래 사용이 불가피하다면 안전대책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산과 태안, 보령, 서천 등 해안지역은 이미 건설현장에서 강모래를 찾아보기 힘든 실정에 이르렀고 대전도 지난해부터 평택지방의 바다모래가 본격 유입되기 시작해 전체 사용량의 10%를 넘어서고 있다.

현재 전국적으로 건설현장에 투입되는 모래량 중 바다모래가 차지하는 비중은 절반을 넘어선 상태다.

충남의 경우도 연간 600만㎥ 이상을 채취하던 금강 모래가 지난 2000년 이후 300만㎥ 이하로 줄어들었고 3∼4년 전부터 해안지역을 중심으로 바다모래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상태다.

연간 대전과 충남에서 필요로 하는 모래량은 750만∼800만㎥.

결국 대전과 충남지역도 이미 절반 가량의 모래 물량을 바다모래에 의존하고 있다는 얘기다.

더구나 하천모래는 향후 3∼4년이면 더 이상 채취할 물량이 없는 상태여서 바다모래의 건설현장 유입은 막을 수 없는 대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충남도 관계자는 "서울과 경기지역을 비롯해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상당량의 바다모래가 건설현장에 사용되고 있다"며 "정부 차원에서 하천모래를 중국이나 러시아 등지에서 수입하거나 골재석재를 분쇄해 모래 대용으로 사용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근본적으로 바다모래 사용을 막을 수는 없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