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근조직 없애 중앙당 연락등 단순업무만 취급

열린우리당은 6일 대전 서구갑과 유성, 충남 천안갑과 당진지구당 창당대회를 갖고, 지구당 관리·운영 및 경선관리를 책임질 운영위원장을 선출하는 등 본격적인 총선체제에 돌입했다.

이날 선출된 운영위원장은 종전의 지구당위원장과 달리 총선에 출마하지 않고 당원 관리 및 총선 출마자를 위한 경선업무에만 전념해야 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돈먹는 하마'로까지 불리며 부패정치의 대명사처럼 인식돼 온 지구당의 운영체계가 대폭 개선되는 등 파격적인 정치변화가 기대되며 지구당위원장이 공천권을 행사하던 고질적인 병폐가 사라지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새로운 지구당은 매달 1500만∼3000만원 정도의 운영경비가 소요되던 종전의 지구당위원장과 달리 별도의 상근조직이 필요 없으며, 주로 중앙당과 연락하거나 민원업무를 취급하는 체제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구당위원장을 중심으로 표면화됐던 계파정치의 부작용도 크게 완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지구당을 폐지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정치개혁 작업이 한창인 가운데 열린우리당이 이날 지구당을 창당하는 것을 놓고 의문을 제기하는 시민들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현행 정당법에 따르면 중앙당을 창당하기 위해서는 '국회의원 지역 선거구(227개) 총수의 1/10에 해당하는 23개 이상의 지구당을 창당하되 5개 시·도에 분산돼야 하며, 1개 시·도에 1/4을 초과할 수 없다'고 규정돼 있어 오는 11일 중앙당 창당을 위한 법적 요건을 갖추기 위한 것이라고 하지만 쉽게 납득이 가지 않기 때문이다.

한쪽에선 내년 4·15 총선 전에 지구당 폐지를 골자로 하는 선거관련 개정안을 마련하고 있는데 또 다른 쪽에서는 지구당을 창당하는 것은 '고비용·저효율 정치구조'를 타파하겠다는 정치개혁의 기본 취지에 역행한다는 지적이 그것이다.

열린우리당은 또 각 지역구별로 창당을 마쳤던 개혁국민정당이 합세함으로써 지역구마다 내년 총선 출마를 준비 중인 후보가 3∼4명에 달해 경선에 이르기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뒤따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창당한 대전 서갑의 경우 박병석 의원과 최교진 21세기 대안정책포럼 공동대표, 유성의 경우 송석찬 의원과 윤종세 전 개혁당 위원장, 오충환 전 개혁당 집행위원이 출마의 뜻을 피력하고 있어 어떤 형태로든 1명의 후보를 선출해야 한다.

이로써 '현역 프리미엄'을 활용할 현역의원과 새로운 정치입문을 꿈꾸는 신진 인사간 '운영위원-자기사람 심기' 등을 놓고 불협화음이 빚어지지 않을까 걱정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은 것도 이 때문이다.??

<나인문·김경환 기자>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