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인 행범련 수도권 공동대표

내년 4월에는 4년간의 민의를 대변할 17대 국회의원을 선출하는 총선이 실시된다.

또 한번 온 나라가 선거 열기로 빠져 들게 되는데 매번 총선거 후 나타나는 '돈선거' 후유증이 내년 총선 후에 또다시 나타날까 염려스러운 마음에서 인터넷과 각 후보자들의 홈페이지를 통한 선거운동 확대 방안을 한번 제안해 보고자 한다.

인터넷 선거운동은 관련 허위사실 유포 및 상대 후보에 대한 지나친 비방 등이 그동안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그러나 선거운동을 PC라는 좁은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경우 이는 그야말로 선거혁명에 가까운 변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인터넷을 통한 선거운동이 활성화될 경우 후보와 다수의 유권자간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해지고, 인터넷을 통한 상시 선거운동 체제가 일정 궤도에 오를 경우 이는 정치개혁과도 직결될 수 있다.

영국의 BBC 방송은 이미 지난 2000년 16대 총선을 사이버 선거로 규정했고, 당시 정보통신부는 국내 인터넷 인구가 100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발표해 인구 4명당 1명이 이용하는 인터넷을 통한 선거운동이 본격화되는 시점임을 전했다.

그로부터 2년 후 지난 2002년 12월 대통령선거에선 4명중 3명이 인터넷을 통해 후보들을 결정한 것으로 조사됐고, 결국 네티즌들이 기존의 선거운동 양상을 뒤엎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 같은 상황에서 인터넷 선거운동의 확대는 시대적 흐름이고, 사회 전 분야의 발전 방향과 맥을 같이하고 있다.

특히 인터넷의 경우 서로 직접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고, 이 같은 인터넷의 특성 덕분에 간접 민주주의의 한계가 극복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시민들의 선거 참여는 물론 후보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위해 사이버 선거운동의 적극적인 양성을 통해 후보에 대한 유권자들의 인식을 확대시키는 것이 유권자로 하여금 뽑아 놓고 후회하지 않는 방안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인터넷을 통한 선거운동에 대한 어려움도 적지 않다.

여전히 정치권에선 각 정파적 이해득실에 따라 인터넷을 통한 선거운동 확대에 대해 찬반이 엇갈리고 있는 상황에서 특정 후보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가 집중적으로 남발될 가능성도 적지 않다.

또한 인터넷 인구의 경우 50∼60대를 제외한 연령층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경우 이 연령대의 유권자들의 의사가 충분히 반영되지 못할 가능성이 높은 것도 사실이다.

정치권에서의 찬반 여론도 적잖은 걸림돌이 되고 있지만, 시대의 흐름이라는 큰 줄기를 생각한다면 인터넷 혹은 각 후보자들의 홈페이지를 통한 선거운동 확대를 반대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