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장애인수 비해 교육 시설 여전히 부족장소있어도 편의시설 엉망… 확충·보완해야

장애인들이 배우고 싶어도 교육시설 내 편의시설이 충분치 않아 배움의 기회마저 박탈당하고 있다.

지난해 말 대전지역 내 장애인시설은 장애인 생활시설 14개소, 직업재활시설 10개소, 복지관 5개소, 주단기 보호시설 21개소, 공동생활가정 18개소, 체육재활원 9개소 등 모두 77개소다.

또 대전지역 장애인 등록현황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6만 4300여 명인 데, 공동생활가정, 체육재활원, 보호시설 등을 제외한 교육시설은 10여 개소에 불과하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사회진출의 기회를 갖기 위해 교육을 받고 싶어도 마땅한 교육장소가 없는 것이다. 실제로 장애인 정 모(49) 씨는 지난 5월 한 장애인단체의 소개로 교육을 받게 됐다. 하지만 장애인이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마땅한 교육시설이 없어 교육기간 내내 여러 가지 불편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정 씨는 2년 전, 서울 국립재활원에서 3개월간 사회적응훈련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어 이번 교육도 자신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고 교육을 받기로 했다.

하지만 교육 장소가 대전시내의 모 호텔이었지만 그 호텔에는 관련법에 명시 돼 있는 장애인 화장시설이 제대로 갖춰있지 않았던 것이다. 정 씨를 포함한 8명의 장애인이 이곳에서 교육을 받았지만 모두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편의시설로 인해 교육기간 내내 큰 고생을 할 수 밖에 없었다.

정 씨는 “선천적·후천적 장애인 모두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교육을 받을 장소가 마땅치 않다”며 “서울에 있는 국립재활원도 썩 좋은 교육시설은 아니었지만 그래도 장애인들이 교육을 받기에는 충분했다”고 말했다.

장애인 김 모(35) 씨도 지역 내 장애인 교육시설이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10년 전 교통사고 후유증으로 지체 장애인이 된 김 씨는 “장애인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등은 많지만 마땅히 이를 받을 만한 장소가 부족하다”며 “특히 복지관이나 재활기관을 제외한 일반시설의 경우 장애인 편의시설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아 그곳에서 교육을 받을 경우 애로점이 많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장애인들이 사회 진출을 위한 교육을 받고 싶어도 제대로 된 교육시설이 부족한 상태다.

장애인단체 관계자는 “장애인을 위한 정책이나 시설 등이 예전에 비해 많이 갖춰진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도 많이 부족하다”며 “장애인들이 사회 진출을 위한 각종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장애인 교육시설이 확충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성우 기자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