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이석 문화레저부 차장

지역내 모 학교는 최근 A교사와 B학생간 갈등 문제로 홍역을 앓고 있다.

아주 사소한 사안이 불씨가 돼 교사와 학생 사이에 입에 담아선 안될 막말들까지 오간 모양이다.

발단은 교사가 수업도중 무심코 던진 말이 원인이 됐지만 당돌하게 되받아친 학생의 모습에 당혹감과 수치심을 느낀 교사는 학생의 행위를 문제삼아 훈계와 체벌을 가했다.

그런데 잠잠해질거라 기대했던 교사와 학생간 ‘앙금’은 시간이 갈수록 덩치를 더욱 키웠다.

교사의 눈에 버릇없는 학생으로 낙인찍힌 학생은 이후 꼬투리만 잡히면 혼나기 일쑤고, 학생은 교사를 피해 교내에서 숨어다니며 교사 험담을 퍼뜨리는 숨바꼭질 전쟁이 반복됐다.

급기야 이 문제는 학교에서 해결하지 못하고 학생이 교육당국에 공식 이의제기를 하는 것으로 확대됐다.

▶지난 3월 대전시의회가 학원심야교습 제한 시간을 새벽 1시까지 연장하면서 지역 교육계에 파문이 일었다.

시민들의 비판 여론에 밀려 시의회의 학원심야교습 연장안이 철회됐지만 사교육 시장에 무기력하기만하던 학부모들의 불만은 기다렸다는 듯이 봇물처럼 터져나왔다.

당시 지역의 한 국회의원이 마련한 긴급토론회에서 한 학부모가 내놓은 학교 현장 얘기는 눈길을 끌었다.

학생들은 이미 교사 실력에 대한 평가를 내려놓고 서로 공유까지 하고 있다는 것인데 같은 과목에서도 교사에 대한 우열을 가려놓고, 실력이 떨어지는 교사가 맡은 반 학생들은 수업시간에 자습을 하고 저녁에 학원과 개인과외로 보충한다는 얘기다.

식비는 줄여도 학원비는 줄이지 않는 한국의 사교육 현실을 다루는 자리였지만 종국엔 미덥지 못한 공교육의 현 주소가 참석자들로부터 몰매를 맞았다.

▶역대 정부가 그랬듯이 이명박 정부도 교육 정책부터 손을 대고 있다.

공교육을 놓고 연일 정부와 교원단체가 사회적인 격론을 벌이고 있지만 정작 ‘교육의 소(小)통령’이라고 불리는 주민직선 교육감의 목소리는 찾기가 힘들다.

대부분 한발 비켜서 사회적 논쟁의 결론만 나기를 기다리거나 어느 잡음에도 휘말리지 않는 처세술을 보이고 있다. 이른바 ‘보신주의 리더십’이다.

문제는 이 같은 리더십은 정책의 추진력과 실효성을 담보하기 어렵고 결코 학부모와 학생등 교육수요자를 만족시킬 수 없다는 것이다. 공교육 현장이 학생 인성교육과 학력신장으로 좌충우돌하더라도 지역에 걸맞는 정책이 나올지 의문시된다.

좌고우면하는 교육감은 공교육 활성화를 책임지기엔 역부족이란게 그간 사회적 비용을 지출하고 얻은 교훈이다. 벼랑끝에 선 공교육과 교육자치를 수호하는 일차적 책임은 정부도 교원단체도 아닌 다름아닌 교육감과 그의 리더십에 있다. abc@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