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 외곽 개발 어떻게 돼가나?

도시의 인구가 나날이 늘어나며 주거를 기본으로 한 각종 도시기반시설의 확장이 불가피한 상태다.

대전의 경우 노은지구 개발이 막바지로 접어들면서 장차 남부권 혹은 동남부권으로 일컬어지는 가오, 낭월, 용운, 대사동 등을 중심으로 한 각종 개발사업이 진행 중이거나 계획 중에 있고 서남부권의 개발도 서서히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서남부권의 경우 유성지역에서 가수원, 관저, 진잠을 아우르는 곳까지 도안동, 원신흥동, 상대동 등에 대한 대단위 택지개발이 진행된다는 사실을 대부분의 시민들이 인지하고 있으나 남부권 혹은 동남부권에 대한 정보는 그리 자세히 알고 있지 않다.

인지도의 미흡은 동남부권이 서남부권과 같이 하나의 사업지구가 일시에 택지개발 형식으로 진행되는 사업으로 착각하고 있는 데서 비롯된다.

또 서남부권 개발에 대한 기대에 부풀어 있는 일부 시민들은 동남부권 개발 사업이 서남부권의 개발을 지연시키는 요소인 것으로 오인하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그것은 기우이다. 남부권 개발사업은 이미 각 사업지구별로 활발하게 진행 중이고 남부권의 개발이 사실상 마무리되는 시점에서 서남부권의 개발은 본격 가동되기 때문이다.

동남부권과 서남부권의 개발 방향과 진도를 간략히 소개한다.

▲동남부권

동남부권 혹은 남부권이라고 불리는 개발지는 둔산이나 노은, 서남부권과 같이 일시에 대규모 택지를 조성하는 것이 아니다.

토지공사가 이 일대 토지를 모두 수용해 개발사업을 벌이는 가오지구를 포함해 낭월, 용운, 대성, 사정, 안영지구 등 5개 구획정리사업과 천동1, 신흥, 인동, 문화, 대사2, 부사 등 6개 주거환경개선사업을 통칭해 남부권 개발사업이라고 지칭하는 것이다.

남부권 개발지의 전체 면적은 114만평으로 이 중 이미 개발에 착수해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면적은 70여만평에 이른다.

개발에 착수된 70여만평은 앞서 소개한 지구들로 이들 대부분은 주거기능 수행을 주 목적으로 한다.

나머지 44만평은 주거기능 이외의 각종 기반시설이 들어서게 되며 현재 대전시가 구상하고 있는 안은 15만평 안팎의 민족사학박물관을 비롯해 제2유통단지, 시립병원 등이다.

현재는 각 지구별로 주거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개발사업이 진행 중이고 이들 사업은 2004∼2005년을 전후해 마무리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후부터는 주거기능 이외의 기반시설을 유치하는 데 개발의 초점이 옮겨가게 된다.

남부권 개발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가오지구 택지개발사업은 내년 상반기 아파트 분양을 시작으로 본격화될 예정이다.

그밖의 5개 구획정리사업과 6개 주거환경개선사업은 이미 상당 수준의 진척도를 보이며 순조롭게 추진되고 있다.

▲서남부권

남부권 개발이 12개 사업지구별로 진행되고 있는 데 반해 서남부권 개발은 일시에 해당 지역의 모든 토지를 수용해 체계적으로 개발하는 방식으로 사업이 진행된다.

다만 3단계로 분할해 개발을 진행할 계획이며 현재는 전체 사업대상지 470만평 가운데 1단계 예정지인 184만평에 대한 개발 준비가 한창이다.

한국토지공사, 대한주택공사, 대전도시개발공사 등 3개사가 공동 사업자로 선정된 서남부권의 개발은 현재 1단계지구에 대한 지구지정을 확정한 상태로 다음달 중 건설교통부에 개발계획 승인이 신청될 예정이다.

내년 6월을 전후해 건교부로부터 개발계획 승인이 이루어질 전망이어서 연말에는 개발주체 3사가 대전시에 실시계획을 요청할 것으로 보여진다.

그리고 나서 2004년에 교통 및 환경영향평가 등을 거치게 된다.

이로 인해 보상과 본격적인 공사는 2005년에나 가능하고 본격적인 입주는 2010년에 임박해서야 이루어질 것으로 예측된다.

결국 남부권 개발사업이 마무리되고 각 주거지에 입주가 이루어질 무렵에 이르러 서남부권의 개발은 본격 시동되는 것이다.

2단계와 3단계 사업지는 1단계 사업을 진행하는 동안, 혹은 1단계 사업을 모두 마무리지은 뒤 시작될 예정이어서 아직 구체적 일정조차 잡히지 않은 상태다.

서구식 대전시 도시개발과장은 "남부권 개발과 서남부권 개발이 맞물려 남부권이 상대적으로 소외되고 주거기능 분산효과가 없을 것이란 일부 우려는 기우에 지나지 않는다"며 "도시개발계획은 도시의 인구팽창과 기반시설 현황을 바탕으로 지역별 안배와 시간적 차이를 두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만큼 편중개발이나 일시개발로 인한 문제점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