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代 주축 젊은층 없어 목공등 기술전수 차단

일선 건설현장의 인력 고령화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공사현장에는 이미 40대조차 찾아보기 어려운 형편이 됐지만 정부나 지자체 차원의 어떤 대책도 마련돼 있지 않아 향후 수년 안에 건설현장 인력부족은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상할 전망이다.?

건설현장의 인력 고령화는 기술직에서 더욱 극심하게 나타나고 있어 기술 전수가 차단됨은 물론 건설업계가 인건비 상승에 따른 이중 부담으로 비상이 걸렸다.

실제로 대전 충남을 비롯한 전국의 각 건설현장에는 50대가 인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40대와 60대가 일부 역할 분담을 하고 있을 뿐 20대나 30대는 찾아볼 수 없는 형편이다.

대전시 중리동의 한 교회건물 신축 공사장의 경우 40명의 작업 인력 중 43세의 철공 기술자가 최연소였고 40대 인력은 모두 4명에 그쳤다.

철근을 다루는 인력의 경우 그나마 사정이 나은 편으로 목공이나 미장공, 조적공 등은 40대를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대전시 중구 중촌동의 다른 공사현장도 사정은 비슷해 20명의 작업 인력 중 50대가 차지하는 비중이 90%에 달하고 있었고 나머지는 60대가 자리를 채웠다.

이 같은 현상이 가속화되자 건설현장의 기술전수는 이미 맥이 끊어져 가고 있고 있지만 어떠한 대책도 마련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나마 사정이 나은 대기업의 경우 산업연수생 명목으로 외국인 노동자를 고용, 버텨나가고 있지만 지방의 중소업체들은 이마저 쉽지 않다.

연중 일거리를 제공할 수도 없는 데다 관련 정보도 적어 연수생 제도를 활용할 수 없고 불법체류자를 고용할 경우 인력 관리에 문제가 발생한다.

관광비자 입국자를 고용할 경우에도 활용기간에 6개월에 국한돼 항공료 부담이 만만치 않다는 것이 건설업체의 하소연이다.

잡부는 외국인을 고용해도 무관하지만 기능공은 기술 전수에 상당 시간이 소요되는 데다 기술력에도 한계를 보여 완전한 대책이 될 수 없다고 업체는 호소하고 있다.

건설업체 대표는 "내국인이 현장에 참여한다면 더 바랄 것이 없지만 찬밥 더운밥을 가릴 때가 아니라는 판단 아래 외국인 노동자 고용을 고려하고 있다"며 "중소 건설업체들이 합법적으로 외국인 연수생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정부와 지자체 차원에서 마련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