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처리시설 도입 제1매립장 수명 20년 연장
조성시기 논란 재점화 … 市 "계획대로 진행"

대전시가 생활폐기물 전처리시설(MBT)을 도입키로 한 가운데 제2매립장 조성 시기에 대한 논란이 재점화될 전망이다.

대전시와 환경부 등에 따르면 생활폐기물을 기계적으로 전처리해 가연성 폐기물을 분리할 경우 매 쓰레기 양은 절반 가량으로 줄어들어 매립장 수명은 2.5배에서 최대 10배까지 늘어난다.

따라서 하루 200톤 규모의 전처리시설을 가동할 경우 오는 2018년 포화가 예상되는 대전 금고동 제1매립장의 수명은 최하 20년가량 늘어난 2037년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이럴 경우 2011년 착공, 2014년 완공 예정인 금고동 제2매립장은 존재의 이유가 희박해진다.

2004년 계획이 수립된 제2매립장은 총 2800억 원이 소요되는 대규모 사업으로 이중 900억 원이 토지 보상비이며, 현재 98%가량 보상이 완료됐다. 보상비를 제외한 1900억 원 중 국비 지원은 30%로 시비만 무려 1330억 원(70%)이 소요된다.

현재 계획대로라면 2012년부터 완공 전까지 약 3년 동안 매년 400억 원 이상의 시비가 투입돼야 한다.

이러한 막대한 시비가 들어가는 만큼 제2매립장 조성 시기에 대해 다시 한 번 고민을 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제2매립장에 대해 보상만 완료됐을뿐 기본계획조차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우선 이곳에 2012년 가동을 목표로 전처리시설을 설치한다는 계획 또한 무리가 있다는 지적이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제2매립장은 조성 시기에 대해 논란이 계속돼 왔다"며 "분리수거와 음식물 쓰레기 매립금지 등으로 전반적인 쓰레기매립량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대전시가 우선순위를 고려해 예산을 편성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전시는 대도시에서 쓰레기 매립장 부지를 구하기 어렵고 향후 수십 년을 내다본다면 현재 계획대로 진행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제1매립장 수명은 당초 2011년에서 분리수거와 소각로 및 전처리시설 설치를 고려했을 때 2018년으로 연장되는 것"이라며 "제2매립장에 전처리시설을 설치해 쓰레기를 분리한 뒤 매립쓰레기는 제1매립장에 매립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남희 기자 nhhan@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