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가계부실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급전을 구하기 위해 기존의 급전 융통수단이 교묘한 수법으로까지 다양화되고 있다. 결국 빚을 얻어 빚잔치를 하는 악순환이 계속됨에 따라 가계부실이 더욱 심화되고 있는 것이다. 가계부실 징후가 가시화되면서 당국에서는 부랴부랴 가계대출 억제책을 제시하고 있지만 여전히 위험성이 상존하고 있어 이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이 절실하다.

당국의 소비확대정책에 편승해 과소비 현상이 일반화돼 올 상반기의 저축률은 20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급락해 일본, 대만보다도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고 한다. 이렇듯 과소비가 만연함에 따라 가계부채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것은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물론 경기부양을 위해 일정 정도의 소비지출이 이뤄져야 하겠지만, 도를 넘어선 과소비의 만연은 건전한 소비생활을 해쳐 국민경제에 결코 바람직한 것만은 아니다.

자제력을 잃은 과소비의 결과로 가계부채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니 급전을 구하기 위해 온갖 수단과 방법이 동원되고 있는 것이다. 카드깡은 이미 고전적 수법이 된 지 오래이고, 휴대폰 사기에 신차깡, 상품권 할인 등 기발한 방법들이 다 동원되고 있다. 특히 '대부업법'의 시행에 따라 시중에서 급전을 구하기가 전보다 훨씬 어려워짐에 따라 이러한 편법적인 수단들이 기승을 부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이러한 편법적인 현금동원방법이 일시적으로는 급전을 손쉽게 구할 수는 있겠지만, 결과적으로는 더 큰 빚을 감당하지 못해 오히려 피해를 당하기가 쉽다는 데 있다.

개인가계부채가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늘어나 궁지에 몰린 나머지 범죄의 유혹에 쉽게 빠지기도 하는 사회적 병리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고 보면 더 이상 방치할 수도 없다. 어떠한 방법으로든지 이러한 행태는 개선돼야 한다. 빚을 내서라도 우선 놀고, 쓰고 보자는 막가파식 소비행태를 조장한 당국의 책임이 크다. 거기에 소비자들의 비합리적이고 무계획적인 소비행태도 문제이다. 자신의 소득을 고려하지 않은 채 지나치게 소비에 몰두하다 보니 감당할 재간이 없고 급기야 빚이라도 내서 우선 당장 닥친 문제를 해결하려는 데서 문제는 비롯된다.

상황은 이러한데 당국이 뒤늦게 가계대출을 억제하겠다고 나서 봤자 가계부실이 개선될 리 없다. 자칫 신용질서 자체가 붕괴되기라도 하면 우리 경제는 걷잡을 수 없는 수렁에 빠질 위험이 있다. 이제 소비자들도 냉정을 되찾아야 한다. 위험수위에 도달한 가계빚의 심각성을 인식한다면 절제되고 계획적인 소비 문화의 정착이 절실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