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광역지자체는 물론 일선 기초단체 및 시민단체의 경우도 서로 협의체를 구성, 공동 번영과 세 확산 등을 모색하는 경향이 짙게 풍기고 있다. 충남도를 포함한 경기·전북·전남 등 서해안권 광역단체장들이 지난 7일 안면도 롯데 오션캐슬에서 '서해안권 개발 공동협력체제'를 구성했는가 하면 같은 날 대구에서는 대전·충남, 대구, 부산·경남, 광주·전남 등 전국 12개 지방분권운동본부와 경실련이 '지역 균형발전과 민주적 지방자치를 위한 지방 분권 국민운동'창립대회를 갖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충남도와 전북도가 교류협의체를 구성하고, 대전시 동구와 전국 5대 광역시 가운데 원도심 기초단체가 '자치단체 협의체'를 구성키로 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90년대 중반 대전시와 충남·충북 등 3개 광역지자체가 충청권 행정협의회를 구성한 것도 기억에 새롭다.

지방이 뭉치면 공동 번영과 지역 현안 해결 등을 위해 서로 협력하고 정부를 압박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효과적이다. 언필칭 서해안 시대임을 강조하면서도 서해안고속도로만으로 생색을 내고 있는 상황에서 서해안권 지자체가 지역발전을 위해 공동 대응키로 하는 것은 국토의 균형발전 의지를 다지는 수단으로도 매우 의미심장하다. 충청권 행정협의회나 이웃사촌끼리 현안해결과 지역발전을 도모하려는 충남·전북도가 협의체를 구성한 것도 모양새만큼은 발전적이다. 지방 분권운동이 전국적 연대조직을 결성한 것은 보다 더 실제적이다. 원도심의 공동화로 퇴락의 위기에 몰린 지자체가 공동의 현안 타개책을 모색하는 것도 바람직한 방향이다. 뭉친다는 것은 힘이 생기는 원천이다. 여기에 실천력과 운영의 묘를 살릴 수만 있다면 가능성은 있어 보인다.

충청권 행정협의회가 거듭된 연륜에도 불구하고 가시적인 성과는 찾아볼 수 없고 단지 단체장 친목 모임으로 인상지워지고 있는 것이나, 용담댐 물 분규 조짐이 일자 충남·전북 교류협의회가 발족된 지 열흘도 못 돼 삐걱거리고 있는 것은 좋은 본보기가 되고 있다. 당장 며칠 전에 도출해 낸 합의사항까지도 안중에 없는 듯한 태도를 보인다는 것은 아무리 지방이 협의체를 구성하고 공영의 길을 모색하려 해도 지역 이기주의 극복이 선결과제임을 알 수 있게 한다. 총론적인 부분에선 인식을 같이하면서도 사소한 지역 이기주의적인 빌미만 비쳐도 합의정신이 위태로워지는 경우는 쉽게 상정할 수 있다. 따라서 지방이 뭉쳐서 강력한 힘을 발휘할 수 있으려면 지역 이기주의를 조정할 수 있는 장치와 해당 지역 단체장들 스스로가 실천의지를 다지는 것이 관건이다. 문제는 이해와 양보로 공동 발전을 모색할 수 있어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