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발(發) 멜라민 분유 파문이 일파만파로 확산되고 있다. 과자류에 이어 자판기용 커피크림, 패스트푸드까지 멜라민이 추가로 검출되면서 국민들의 먹거리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중국산 유가공품 함유 과자류 등 425종에서도 멜라민이 계속 나오고 있어 멜라민 소동은 끝이 안 보인다. 이 지경이 되도록 정부는 수입식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무얼 했는지 질타하지 않을 수 없다.

중국산 불량식품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기생충알 김치, 말라카이트 장어, 납덩이 꽃게, 농약 만두 등 일일이 열거할 수 없을 정도다. 중국에선 종이로 만든 짝퉁 쇠고기와 계란까지 등장했다니 그 수법이 놀랍다. 이런 제품이 수입되지 않을 걸 다행으로 여겨야 할 처지다. 우리 밥상에서 중국산이 아닌 것을 찾아보기 어렵다.

멜라민 파문이 불거지자 제과업계 관계자는 '중국산이라 우리가 컨트롤 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인체에 치명적인 이런 식품을 그냥 먹도록 내버려둬야 한다는 말인가. 이렇게 무디니 국내 굴지의 제과업체조차도 중국 현지공장에 상주 직원 단 1명도 보내지 않았는가 보다. 중국대사관의 통고를 번번이 묵살하는 등 늑장 대응한 식품의약품안전청 등의 상황인식 능력도 문제다.

수입자유화 시대에 무턱대고 제품 반입을 거부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하지만 외국산 식품은 검역기준에 미치지 못하면 통관이 불가능 하다. 불량식품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얼마든지 걸러낼 수 있는 장치가 마련돼 있는 것이다. 검역당국의 존재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당국의 대처가 오죽 못마땅했으면 이명박 대통령이 예정에도 없던 식약청을 전격 방문해 철저한 대처를 주문하고 나섰겠는가.

우리는 여러 차례 소를 잃고도 외양간을 고치지 못했다. 사고가 터지면 한동안 법석을 떨지만 언제 그랬냐는 듯 넘어갔기 때문이다. 이번 파문도 은근 슬쩍 지나칠 공산이 크다. 무엇보다 식품안전에 대한 일관성 확보가 시급하다. 지금처럼 식약청과 지식경제부, 농림수산식품부 등으로 분산돼 있는 식품안전관리 업무로는 위기 대응에 한계가 있다고 본다. 검역업무를 통합하는 등 획기적이고도 근본적인 수입식품 검역시스템을 마련해야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