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장마가 시작되면서 식중독이나 수인성 전염병이 창궐할 우려가 높다. 최근에는 출혈성 대장균 O-157마저 출현해 각별한 주의가 요망되고 있는데도 일선 학교의 경우 집단 발병에 대한 방역과 초동 대응체계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고 있다. 집단급식으로 인한 세균성 이질이나 식중독 증세 등을 확인하고도 감염 경로조차 제대로 규명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학교나 수련원에서 단체급식을 한 후 집단으로 설사나 이질 증세를 보였던 신탄진 Y초등 학생들과 D고교생들의 경우 모두 역학조사 결과 발병사실은 확인됐지만, 감염경로는 밝혀내지 못했다. 학생들이 신속하게 발병사실을 신고하지 않았다는 이유만으로는 설득력이 부족하다. 지난 15일 장출혈성 대장균 증세로 투석치료 중 8세 남아가 숨진 지 1주일 후에야 당국에 신고된 사례와 유사하다. 전국에서 유사환자가 속출하자 환자 감시체계를 강화하는 등 뒷북 방역으로 대응하는 게 우리의 방역 수준이다.

무엇보다도 교육청과 보건당국 및 의료기관의 유기적인 협조체계가 확립되지 않았다는 반증이다. 각 시·도에 역학조사관이 1~2명밖에 없어 신고가 없으면 직접 발견하기가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질병 모니터링제도를 제대로 활용하는 방안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내과, 소아과 등을 통한 예비감시체제를 강화해야 한다. 특히 수인성 전염병이 우려되는 여름철엔 식약청, 행자부, 농림부, 교육부 등 유관기관간의 협조체계가 항시 가동돼야 마땅하다.

학교급식을 비롯해 단체급식의 경우 체계적인 감시체계를 확보하되 사후 책임 소재를 확실히 해 둘 필요가 있다. 그러자면 감염경로를 밝혀내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다. 학교급식 직영 의무화, 급식비 및 급식시설비 국가 부담, 우리 농산물 사용 의무화 등을 담은 학교급식법 개정안이 학교급식네트워크 등 사회단체의 요구로 마련된 만큼 이번 국회에선 꼭 통과돼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