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점검,산업단지 정전사고 대책 절실]3)산업단지 정전사고 정부 차원 대책 시급

대형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산업단지 내 정전사고를 막기 위해서는 기업들의 인식전환 및 정부 지원 등 종합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16일 한국전력 충북지사 및 한국전기안전공사 충북지역본부 등에 따르면 산업단지 내 정전피해는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UPS), 비상발전기 등의 대비 설비를 통해 방지가 가능하다.

낙뢰, 사고 등으로 인한 정전사고의 원천적인 방지는 불가능하지만 기업체들의 다양한 대응시스템을 통해 심각한 정전피해 만큼은 막을 수가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하이닉스반도체의 경우 전선 복선화를 통해 한쪽 전선의 전원이 끊기더라도 다른 쪽 전선을 통해 전력을 받을 수 있도록 대비하고 있다.

또 주요 생산설비에 UPS시설과 비상발전기를 갖춰 24시간 상시 감시체제를 통한 정전피해 방지에 나서고 있는 모습이다.

하지만 이 같은 정전대비 설비를 갖추기 위해서는 막대한 투자비가 요구돼 지역의 중소기업들은 엄두조차 내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여력이 있더라도 투자대비 경제성 측면에서 기업들로부터 외면받고 있다는 것이 지역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한국전기안전공사 충북지역본부 관계자는 "UPS시설을 통해 정전피해를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지만 일반 중소기업들이 시설을 갖추기란 쉽지 않은 일"이라며 "지역의 일부 대기업을 제외하고 최대 수 만kW까지 사용하는 전기 설비 전체를 보완·유지할 수 있는 여력을 갖춘 기업은 없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라고 귀띔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의 인식 전환과 함께 자금지원 등 정부 및 지자체 차원의 지원책 마련도 요구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기업들이 정전 안전장치도 공장가동설비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예방교육과 함께 정전 대비설비를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등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

오창과학산업단지 내 한 중소기업 관계자는 "선진국의 경우 공장을 세우면 정부나 지자체가 전기 공급에서부터 안정적인 운영까지 완벽하게 해결해 준다"며 "기업 유치를 위한 지원책도 중요하지만 정작 기업들이 안전한 생산 활동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정전대비 설비 등에 대한 지원책은 전혀 없는 것 같아 아쉽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한전 충북지사 관계자도 "우선 첨단 제품 생산업체들의 경우 중요설비만이라도 정전대비 설비를 갖출 수 있도록 기업들의 인식을 전환하는 방안이 시급하다"며 "기업들이 최소 정전설비를 갖출 수 있도록 법제화하고 자금지원책을 마련하는 등 정부차원의 안정적인 전기 공급 방안에 대해 다시 생각해야 볼 시점"이라고 말했다. <끝>

?/박현호 기자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