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의료품·의료기기등 3개 기능 별도조성 모색
대전시 계획수정 우려 … 특구 "이제와서 웬말" 비난

<속보>=참여정부가 국책사업으로 추진 중인 첨단의료복합단지 선정이 분산 배치로 분위기가 잡히며 국책사업을 나눠먹기식으로 진행해서는 안 된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3일 대전시 등에 따르면 정부가 당초 100만 평 규모의 부지에 오는 2010년부터 10년간 3조원의 재원을 투입, 의료산업의 허브로 조성하려던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계획이 대폭 조정될 전망이다.

유치를 희망했던 일부 지자체들은 벌써부터 분산배치에 무게를 두고 의약품·의료기기·의료서비스 중 1개 전략산업을 선택, 지역 실정에 맞는 유치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산업연구원의 1차 용역이 나온 뒤 한국과학기술평가기획원의 2차 용역이 기존 단지와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의약품·의료기기·의료서비스 등 3개 기능별로 모형을 별도로 만드는 방향으로 초점을 바꿔 복합단지가 지역별로 분산될 가능성을 낳고 있다.

실제 의료산업단지선진화위원회에 민간위원으로 참석했던 한 인사는 "3개 기능이 모여 있는 게 시너지 효과가 있는 지 각각 별개의 클러스터를 이루는 게 더 효율적인지가 중점 논의 대상"이라며 "지금으로선 후자 쪽이 더 우세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정부의 투자규모로 알려진 3조 원도 구체적 사업계획과 상관없이 향후 10년 간 국가 전체 R&D예산의 10%를 기준으로 막연하게 산정된 데다 기존 단지와 연계하는 방안이 적극 검토되고 있어 지자체의 '매칭펀드' 방식이 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이에 따라 첨단의료복합단지 유치와 함께 '의료산업 혁신 전략'을 수립, 의료산업의 메카로 육성하려는 대전시의 야심찬 계획이 무산될 우려와 함께 총체적 대의를 모아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국가적 첨단의료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허브 기능이 필요하고 의료산업이 IT, BT, NT 등 융복합과학기술 기반산업인 만큼 기술 인프라를 갖춘 대덕연구개발특구가 최적입지라는 게 대전시의 주장이다.

원주의료기기클러스터·오송바이오산업단지 등 위성 클러스터와 근접성 측면에서도 대덕특구가 허브기능을 수행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대덕특구 관계자는 "의료산업을 미래전략산업으로 육성, 의료산업 강국에 진입한다는 목표로 첨단의료복합단지를 개발하자는 것이 당초 정부의 안이었다"며 "이제와서 지역별 안배, 분산배치 등을 운운하는 것은 이율배반적"이라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