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호택 배재대 행정학과 교수

최호택 배재대 행정학과 교수

국감이 끝났으니 이제 누가 뭐라 해도 총선모드 돌입이다.

마음이 콩밭에 있는걸 알았기에 초라한 성적의 맹탕국감이었다 해도 실망스럽지가 않다.

그저 빨리 21대 국회가 마무리 됐으면 좋겠다는 게 솔직한 심정이다.

지켜보고 있는 것 자체가 힘들기 때문이다.

"선거는 나의 미래를 선택하는 것이다"라는 게 평소 필자의 소신이다.

어떤 환경, 어떤 사회, 어떤 복지혜택을 누리며 살 것인가를 선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는 우리 세대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우리 자식 다음 세대의 문제이기도 하기에 더욱 중요한 것이다.

국민 대다수가 공감하는 것 중 하나가 "대한민국은 정치가 문제"라는 것이다.

정치만 잘하면 나라도 평안해질 것이고, 정치만 잘하면 경제도 나아질 것이고, 정치만 잘하면 밝은 미래도 국민행복도 기대할 수 있을 거라고 국민들은 생각한다.

대한민국 국민의 삶과 미래 환경을 책임질 제22대 국회의원 선거(2024.4.10.)가 사전투표일 기준 5개월 앞으로 다가왔다.

선거는 정해진 일정에 따라 진행되는데 꼭 그렇지만 않은 것이 현실이다.

선거구 획정문제가 그렇다.

원래 공직선거법에 규정된 22대 총선을 위한 선거구 획정 기한은 선거일 1년 전인 올 4월 10일까지였다.

벌써 7개월이나 지난 상태인데 아직도 감감 무소식이니 답답하기 짝이 없다.

문제는 역대 선거를 되돌아 봤을 때 선거구 획정이 계속 늦어진다는 것이다.

18대는 47일전, 19대는 44일전, 20대는 42일전 그리고 21대에는 36일전에 획정됐다.

이제는 이것이 관행이 되어 버린 것이고 점점 더 대담하게 늦어진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이렇게 늦어진 선거구 획정은 여러 문제점들을 수반한다.

당장 이달 12일부터 내년 총선 국외 부재자 신고가 시작되는데, 일부 유권자들은 자신의 지역구가 어딘지 모르는 상태에서 부재자 신고를 하게 된다.

또 오는 12월 12일부터 예비후보자 등록이 시작되는데, 정치 신인들은 자신의 지역구가 어디인지 모르는 상태에서 표밭을 다져야 한다.

그러니 공약인들 제대로 준비할 수 있겠는가 말이다.

사실 이렇게 선거구 획정이 늦어지면 늦어질수록 유리한 것은 현역 의원이라고 생각한다.

현역 의원들은 의정활동 보고 등을 통해 사실상 선거운동을 할 수 있지만, 정치 신인들은 선거운동에 제약이 많기 때문이다.

그래서 정치 신인들은 "선거구 획정 지연이야말로 현역 의원들이 자신들의 기득권을 지키는 행위이고, 이를 가능케 한 선거법은 ‘현역 우대법’"이라고 주장하는데, 일리가 있다고 생각한다.

어찌 됐든 여야가 선거구 획정을 미루는 것은 국민의 참정권을 침해한 직무유기이자 범법행위다고 볼 수 있다.

지역구 분구·합구는 쉽게 합의할 수 없는 문제인데, 선수에게 심판을 맡기니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일 수도 있다.

이제는 이런 관행과 법규를 바꿔서 같은 일이 반복되는 오류를 범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동네 축구 말고, 세상에 선수가 심판을 보는 곳은 없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