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현 사단법인 대전민예총 이사장

챗GTP로 시작된 생성 인공지능의 열풍이 네이버의 HyperCLOVA X로 이어졌다.

대화형으로 물어보면 곧바로 결과를 내놓은 인공지능은 이미지와 동영상까지 만들고 있다. 그러나 문제도 있었다.

예를 들면 스캐터랩이 출시한 인공지능 챗봇 ‘이루다’는 성희롱, 혐오 및 차별 발언, 개인 정보 침해 등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고, 서비스를 중지하고 사과까지 했다.

인공지능의 발전이 인간의 육체노동뿐 아니라 정신노동까지도 대신하게 될 것이라는 예측은 사람들에게 불안과 공포를 주고 있다. 새로운 일자리가 생겨날 것이라는 전망도 있지만, 사라지는 일자리가 더 많을 것이라는 예측이 더 현실적으로 느껴진다. 그리고 인공지능은 작품을 창작할 수 있을까? 혹은 인간이 하는 예술이 위협받을 수 있을까? 김재인의 ‘AI 빅뱅’에 따르면, 그렇지 않을 것이다. 인공지능은 다른 분야에서 응용될 때와 마찬가지로 예술 창작에서도 유용한 ‘미디어’이자 ‘도구’일 수 있다.

하지만 현재와 가까운 미래에 개발된 인공지능 수준을 보면, 인공지능은 어디까지나 미디어일 뿐 창작 주체가 될 수는 없다.

인공지능이 높은 품질의 이미지와 동영상까지 생성할 수 있다는 점은 명백하다.

인공지능은 훌륭한 창작 보조 도구다.

인공지능이 작품을 생성할 때 프로그래머의 미세 조정이 얼마나 정교한지 혹은 프롬프트가 얼마나 섬세한지와는 별개로, 작품은 우연히 무작위로 생산된다.

결국 ‘모든’ 인공지능 창작품은 그것을 사람들에게 공개하기로 판정한 ‘평가자’의 판단에 달려 있다. 즉 생성물에 가해진 인간의 비평과 평가가 필수적이다.

인공지능은 작가가 사용하는 도구 중 하나에 지나지 않는다. 단순한 작업 도구 이상으로 어떻게 나아갈 것인지는 작가의 몫으로 남을 것이다. 작가가 인공지능을 사용할지 아니면 다른 도구를 사용할지, 작가가 인공지능을 이용해 어떤 작업을 할 수 있을지는 결국 작가가 무엇을 하려고 하느냐에 따라서 달라질 문제다.

챗GTP는 정확성을 높이고, 가짜 정보인 환각(hallucination)을 줄이며, 윤리적 문제가 있는 답변을 최소화하려고 노력했다.

인공지능의 한계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왜 그런 생성 결과가 나오는지 알지 못하는 ‘블랙박스’ 문제가 여전하다.

둘째, 정확한 지식이 필요할 때 생성물의 활용도가 떨어진다. 셋째, 생성물을 검증하는 데 엄청난 시간이 소요된다.

최근 네이버 HyperCLOVA X는 한국어의 특성을 잘 반영해 한글 토큰을 최대한 압축한다. 토큰 단위로 발생하는 비용을 많이 줄여줄 수 있다.

한국어 언어모델 개발은 학술적으로도, 산업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일이다.

한국어에만 있는 학습 데이터 분량에서도 차이가 난다.

또 한국어 때문에 생겨나는 특색이 분명히 존재한다. 특히 인문 예술 쪽에서는 이런 한국어 언어모델 개발이 아주 중요하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