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철원 한국국토정보공사(LX) 대전세종충남지역본부장

드론을 이용한 배송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다. 행안부와 국토부는 주소 기반 드론 배송 인프라 공동 구축·활용을 추진하고 있다.

행안부는 산악·도서 지역 등에 드론 배달점을 설치, 날씨 변화와 고도 등에 따른 안전성 검토를 위한 시범 운영 서비스를 해왔다.

2018년부터 드론 배달점을 설치한 이후 현재까지 전국에 300점 이상을 구축, 지난해부터 편의점·치킨 전문점 등에서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캠핑장과 펜션 같은 외딴 지역에서 휴대폰 애플리케이션으로 편의점 물건을 주문하는 드론 배달 서비스가 확대될 전망이며, 올해는 충남 보령 대천해수욕장에 드론 배달점을 생성하고 시간 개념이 도입된 ‘사물주소’를 부여하는 시범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이처럼 과거 건물 위치 정도만 안내했던 주소 정보가 정교하고 세밀해지면서 다양한 신산업과 융·복합되고 있다. 실제 주소정보는 정확한 위치정보 중 하나로 국민 생활을 뒷받침하는 핵심 데이터로 부각 되고 있다.

드론 배달점 주소는 드론 기체와 조종사가 위치를 확인하고 소통하는 수단으로, 사물 주소로 분류된다. 보통 도로명주소는 건물의 출입구를 안내하지만 드론 배달점은 X·Y 좌표를 활용해 인근에 드론이 착륙하기 적합한 장소로 안내한다. 행안부가 이처럼 적극적으로 드론 배송 서비스를 확대하는 것은 차량 이용 대비 거리는 69%, 이동시간은 70% 가량 절감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드론 배달점을 활용해 정부 각 부처, 지자체 연구소 등도 다양한 드론 배송 사업 모델을 발굴하고 있다.

도서·산간 등 물류 사각 지역의 재난재해 긴급 대응을 위한 생필품 배송, 도심지에서 택배 서비스 등 다양한 모델이 검증되고 있다. 또 올해부터 우정사업본부, GS칼텍스, 한국전파통신원 등과 컨소시엄으로 드론 택배 상용화에 힘을 쏟고 있다.

하지만 아파트 등 고층 건물이 과밀한 곳은 드론 배송이 어렵고 관련 제도가 정비되지 않은 문제점도 있다. 안전 규제나 안보 등을 이유로 드론 활용이 제한되는 지역도 많다. 따라서 이러한 난제들을 하나씩 풀어가면서 드론과 배송이 연결되어 본격 상용화된다면 안전하고 편리한 시대가 앞당겨질 것이다. 이처럼 주소의 진화는 우리가 상상하지 못했던 미래를 꿈꾸게 한다. ‘주소로 안전한 나라, 주소로 편리한 나라, 주소가 자원인 나라’ 비전을 실현시키기 위해 정부도 2026년까지 국가 주소정보 인프라를 대폭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정부와 민간, 산업, 학계 등의 적극적 협력과 지지를 토대로‘주소로 더 나은 미래‘를 위해 드론과 주소 정보가 효율적으로 융합되는 그 날을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