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범수 대전본병원 신경외과 진료원장

추간판, 흔히 말하는 디스크는 수핵과 섬유륜으로 돼있고 상하 척추의 추체를 연결하는 조직이다. 이는 충격 흡수, 각 방향으로 척추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관절의 역할, 과다한 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무릎 연골과 마찬가지로 허리의 디스크는 많이 오래 쓰면 닳게 되는데 반복되는 물리적 과부하 및 미세손상으로 퇴행성 변화를 겪게 된다. 디스크의 수분이 감소하고 탄력이 상실되며 굳게 되고 섬유륜의 부분적 균열이 나타나게 된다. 디스크가 점진적으로 탈출하게 되고 주변 인대가 두꺼워지고 골극이 형성하면서 결국에는 척추관 협착증으로 이어지게 된다. 디스크 탈출이 일어나게 되면 초기에는 요통에서 점차적 하지 방사통이 나타나고, 앉아 있으면 통증이 심해지고 누워 있으면 완화되는 양상을 보이게 된다. 디스크 탈출증은 발생 위치, 정도와 방향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호소하게 된다. 전 대퇴부나 측 하지부, 후 하지부의 방사통이나 감각 저하 심할 경우 하지 마비 소대변 장애까지 유발할 수 있다.

이학적 검사 및 영상의학적 검사를 통해 진단하게 되며 이때 요추 MRI로 확진을 한다. 요추 디스크 탈출증 진단이 내려지면 정도에 따라 치료를 결정하게 되는데 보존적 요법이나 수술적 요법 중에 방향성을 결정하게 된다. 보존적 요법으로는 침상 안정, 물리 치료, 온열치료, 초음파요법, 전기자극치료가 있고 요근부 운동, 척추 부속근 강화 운동도 있다. 진통소염제, 근육이완제 투약을 할 수 있고 이에 반응이 없을 시 침습적인 방법으로 선택적 신경근차단술, 경막외주사, 신경성형술이 있다. 수술적 요법으로는 미세현미경을 통한 디스크 제거술이 있고 양방향 내시경을 통한 디스크 제거술이 있다.

첫째, 미세현미경 수술은 2.5~3cm 정도 피부 절개를 하고 후궁이라는 뼈를 근육으로부터 박리한 뒤 드릴로 갈아서 디스크로 진입할 수 있는 창을 만든다. 이후 황색인대를 제거한 뒤 신경근을 내측으로 젖힌 뒤 디스크를 제거하게 된다.

둘째, 양방향 내시경 수술은 미세현미경 수술과는 다르게 내시경 기구 투입에 필요한 작은 구멍 두 개만 있으면 된다. 근육의 박리도 최소화해 정상 구조물을 최대한 보존하는 수술 방법이다. 미세현미경과의 차이점은 수술 시야도 더 넓고 깊은 곳까지 보다 더 선명한 화질로 수술할 수 있어 세밀하게 수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지속적으로 내시경 장비를 통한 수액이 수술 부위로 유입 유출되면서 세척돼 감염률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환자의 몸에 받는 부담감을 줄일 수 있고 근육 손상도 적어 통증도 줄이고 회복도 빠르고 안전한 수술이라고 할 수 있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는 감염이 1~2%, 재발이 5~15%, 척추수술 후 증후군이 4%로 보고돼 있다. 수술 방법의 개발로 보다 최소 침습적이면서 효과적, 효율적인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게 됐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