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부면에서 산불이 발생해 번지고 있는 모습.
서부면에서 산불이 발생해 번지고 있는 모습.

[충청투데이 김성준 기자] 지난달 대형 산불이 난 대전과 충남의 숲 복원 방식을 두고 환경단체와 산림청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환경단체는 산불 피해지역이 스스로 회복하는 자연복원 방식을 강조하는 반면 산림청은 지역 특성에 따라 인공조림을 병행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4일 대전시와 충남도 등에 따르면 지난달 2일 대전 서구 산직동과 충남 홍성 서부면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해 산림 2000여㏊가 불에 탔다.

지난달 피해지역에 대한 중앙부처와 각 지자체의 조사가 진행된 가운데 산림 복원 방식을 놓고 지역별 차이를 보이고 있다.

대전의 경우 총 피해면적(금산 제외) 646㏊ 중 70%(449㏊)에 대해 자연복원 방식이 적용된다.

대전시는 피해 정도가 심해 인공적으로 복원해야 하는 지역을 제외한 산림 다수를 대상으로 자연복원을 유도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나무가 완전히 타버린 지역이나 주택지, 휴양림 인근을 빼고 자연복원이 가능한 지역은 최대한 나무들을 살려보려고 한다”며 “소나무 등의 침엽수는 산불에 취약하기 때문에 침엽수와 활엽수가 적정 비율로 생육하는 건강한 숲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충남 홍성의 산불 피해지역에 대한 복원은 대부분 인공조림 방식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충남도는 홍성 서부면의 피해면적 1337㏊ 가운데 산불 피해가 경미해 스스로 회복 가능한 지역 16.08%(215㏊)에 대해서만 자연복원 방식을 채택할 계획이다. 나머지 피해 면적에는 총 3년에 걸쳐 소나무 등 경제수를 중심으로 심을 예정이다.

도 관계자는 “피해를 입은 산 대부분이 사유림인 상황에서 산주 대부분이 소위 돈이 되는 나무를 심어주길 원한다”고 밝혔다.

환경단체는 산불피해에 대한 인공조림을 중단하고 자연복원 방식 비율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경호 대전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국내 산불 피해지 복원방식은 인공조림과 자연복원 방식이 6대4 비율로 진행되는데 오늘날 숲은 예전보다 저항력과 복원력이 높아 인공조림을 통한 복원은 필요 없다”면서 “인공조림은 소나무 등 침엽수 빈도가 높아 생물의 다양성에 부합하지 않기 때문에 자연복원을 의무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연복원을 하게 되면 침엽수보다 산불에 강한 활엽수가 자라 산불 피해 예방에도 도움된다는 게 환경단체의 설명이다.

반면 산림청은 지역 특성에 따라 자연복원과 인공조림 방식을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산림청에 따르면 1996년 강원도 고성에서 발생한 산불 피해지를 20년간 관찰한 결과 숲의 회복 정도는 인공조림 복원지가, 토양의 회복은 자연복원지가 높았다.

산림청 관계자는 “숲과 토양의 회복은 복원방법에 따라 다르다”면서 “인공조림과 자연복원 방식의 장단점을 고려해 입지 특성에 맞는 방식을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성준 기자 junea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