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역별 반도체 공동연구소 조성
교육부, 이달 말까지 사업 접수
충남대·충북대 유치 경쟁 나서
반도체 특성화대학 사업은 협력
일각에선 인력 과잉공급 지적도

반도체 = 충청투데이 그래픽팀. 
반도체 = 충청투데이 그래픽팀. 

[충청투데이 조선교 기자] 정부가 반도체 분야에 대한 대학 투자를 본격화하자 지역대학들이 사업 유치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여러 사업에 걸쳐 대대적인 지원이 예고된 가운데 특정 사업에선 경쟁 구도를, 일부 사업에선 협업 관계를 드러내면서 저마다 생존 전략을 모색하고 있는 양상이다.

6일 교육부에 따르면 이달 말까지 비수도권 국립대를 대상으로 권역별 반도체 공동연구소 조성을 위한 사업 신청이 이뤄질 예정이다.

반도체 공동연구소는 반도체 제작을 위한 실습 중심의 교육 등을 목표로 하며 앞서 충남대가 지난해 7월 교육부에 공식 건의한 바 있다.

지역 내 반도체 실험 여건이 녹록지 않기 때문에 관련 인력 양성을 위해선 인프라 개선이 필요하다는 취지였다.

교육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4개 권역에 1개소씩 164억원을 들여 연구소를 만들고 필수 장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충청권 내에선 우선 충남대와 충북대가 연구소 유치를 공식화하면서 경쟁하게 됐다. 두 대학 중 한 곳이 사업에 선정되더라도 권역 내 모든 대학이 이용할 수 있지만 연구소 입지에 따른 지리적 이점과 대학의 위상 등 측면에서 치열한 경쟁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반면 반도체 특성화대학 조성사업에서는 두 대학을 주축으로 지역대학들이 의기투합하고 있는 상황이다. 해당 사업은 단독형 5곳과 동반성장형(컨소시엄) 3곳 등 모두 8곳을 선정해 연간 400명 수준의 반도체 인재를 양성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선정된 수도권 대학에는 45억원, 비수도권에는 70억원 안팎의 지원이 이뤄질 예정이다.

그러나 해당 사업을 두고 지역대학의 비판은 끊이지 않고 있다.

사업 참여를 위해선 반도체 관련 학과 신설과 교원·시설 등 개선 방안이 필수지만 지역의 상황이 녹록지 않기 때문이다.

대전의 A사립대 관계자는 "산업과 인적 자원, 국가 지원이 수도권에 집중된 상황에서 재정난에 놓인 지역대학들은 전문가 영입조차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2021년 기준 충청권 4년제 정교수의 평균 연봉은 1억 1379만원으로 수도권(1억 3209만원)과 1830만원(13.8%) 가량 격차를 보인다.

대학가에선 이같은 수준으로는 대기업에 포진한 관련 전문가를 포섭하기 쉽지 않은 데다가 수도권에 우수 교원들이 집중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특히 일부 대학들은 충청권 반도체산업이 생산·공정에 쏠린 상황과 향후 인력이 과잉 공급될 것이란 지적도 내놓고 있다.

각종 우려가 고개를 들고 있지만 충남대와 충북대 등은 컨소시엄 구성을 위한 협의를 지속 중이다.

향후 지역대학의 생존을 위해선 사업의 적극적인 참여가 불가피하다는 판단에서다.

충남대 관계자는 "충청권 산업 형태에 따라 생산·공정 위주의 특성화가 이뤄지게 될 것이나 회로 설계 등의 분야도 함께 세팅해나갈 계획"이라며 "충청권을 아우르는 산업을 바탕으로 동반성장하자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조선교 기자 mission@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