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상용화 세부 기준 마련… 2035년까지 실증로 공학설계 목표

[충청투데이 이정훈 기자] 차세대 에너지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핵융합(인공태양)과 관련해 정부가 2050년 상용화를 목표로 세부 기준을 마련했다.

핵융합을 활용해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원자력이나 화력 등의 전력원과 비슷한 수준으로 전력을 생산해내는 게 목적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 주재로 18차 국가핵융합위원회를 개최, ‘핵융합 실현을 위한 전력생산 실증로 기본개념’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올해 상반기 내 산·학·연 전문가가 참여하는 실증로 설계TF를 구성한 뒤 2026년까지 예비개념설계, 2035년까지 공학설계를 마무리하고 실증로 건설 추진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핵융합 실증로’는 핵융합으로 실제 전기를 만들어낼 수 있는지 검증하는 장치다.

실증로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7개국이 프랑스에 건설 중인 국제핵융합실험로(ITER)보다 큰 규모로 건설될 전망이다.

기존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에 구축된 한국형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KSTAR)가 1억도 플라스마(고체·액체·기체를 넘어선 제4의 상태)를 만들어 핵융합이 가능한 상태를 만들어 내는 것이라면 실증로는 ITER처럼 핵융합을 일으켜 실제 전기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한지 검증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실증로는 ITER와 KSTAR에서 사용하는 초대형 전자석을 이용한 ‘자기장 가둠’ 방식의 ‘토카막 핵융합로’로 제작될 예정이다.

2035년 운영 여부를 결정하는 핵융합 실증로 건립에 앞서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은 22일 대덕특구 기자단에 KSTAR 내부를 공개하기도 했다.

KSTAR는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도록 1억도 이상 초고온 플라스마를 만들고 이를 초전도 자석이 만드는 자기장을 이용해 가두는 핵융합 장치다. 앞서 KSTAR는 2021년 세계 최초로 1억도 운전 30초를 달성해 핵융합로 세계 기록을 세운 바 있다.

향후 개발될 실증로는 24시간 구동이 필요한 만큼 KSTAR도 여기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개선이 이뤄지고 있다고 핵융합연구원은 설명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핵융합에너지는 탄소중립과 에너지 안보 위협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차세대 에너지원"이라며 "가보지 않은 길을 개척해나가야 하는 도전적인 분야다.

실증단계에서도 핵융합에너지 개발을 주도할 수 있도록 사전에 체계적인 준비를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정훈 기자

KSTAR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제공

classystyle@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