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중요성 부각
한국 매년 실제 10명 불과

의사과학자 양성 국회대토론회. 카이스트 제공
의사과학자 양성 국회대토론회. 카이스트 제공

[충청투데이 이정훈 기자]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의사과학자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인력 양성을 위한 새로운 범부처 지원 체계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30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선 국내 의사과학자 현황 및 진단, 인력 양성 확대 방안을 논의하는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을 위한 국가 전략 국회 대토론회’가 개최됐다.

우선 신찬수 한국의대·의전원협회(KAMC) 이사장은 주제 발표를 통해 의사과학자 양성 현황을 진단했다.

신 이사장은 "미국의 경우 매년 1700명정도 의사과학자가 배출 되는데, 한국은 30명 정도에 불과하다"면서 "30명이라는 것도 아마 전국 의대 졸업 후 기초의학으로 투신하는 수를 얘기하는것 같은데, 실제로는 10명도 안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의사과학자 양성·유지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세부적으로 △연구중심의대 정부지원 사업 확대 △의사과학자 지원자 대상 개인지원 사업 추진 △의과대학-과학기술특성화대학 컨소시엄사업 등의 추진 필요성을 주장했다.

이와함께 진행된 토론회에선 의사과학자 양성을 위한 범부처 지원 체계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기초연구지원(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학제개편 및 인력양성(교육부) △임상연구 지원(보건복지부) △전문연구요원 병역문제(국방부) 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때 라는 의견이다.

토론회에 참석한 정부 관계자들도 의사과학자 양성은 국가적으로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것에 공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창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실장은 "국가인재정책 상 의사과학자 양성은 불가피한 선택"이라며 "앞으로 촘촘한 연구비 지원체계나 연구 시간 확보, 생태계 조성 등에 신경쓸 것"이라고 말했다.

참석자들은 그동안 의료계 등이 문제로 제기했던 의과대학 설립, 임상 진출 우려 등에 대해서도 견해를 밝히기도 했다.

진료하는 임상의와 연구하는 의사과학자는 전혀 다른 개념이라는 것을 분명히 하고, 필요하다면 법적 조항을 마련하자는 의견이 나왔다.

이광형 카이스트 총장은 "카이스트와 포스텍은 레지던트 과정을 생각하고 있지 않다"며 "만약 임상으로 갈 가능성이 있다면, 법적 장치를 마련해 그것을 예방하면 된다"고 말했다.

이정훈 기자 classystyle@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