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벤처기업의 수도권 쏠림 현상이 더 심화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이성만 의원실에 따르면 올해 9월 기준 국내 벤처기업은 모두 3만 5950개다. 이 가운데 충청권 기업과 전국대비 비율은 대전 1427개·4.0%, 세종 174개·0.5%, 충북 902개·2.5%, 충남 1158개·3.2%다.

지난 4년 간 충청권과 같은 비수도권의 벤처기업 수는 줄고 있는데 반해 수도권은 오히려 늘고 있다. 같은달 기준 서울과 경기, 인천지역 벤처기업 수는 전체의 64.1%(2만 3058개)로 지난 2020년에 비해 2.3%가 늘었다.

코로나19와 지속적인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벤처기업의 총수 자체가 줄고 있긴하다. 그럼에도 수도권 벤처기업이 늘었다는 것은 지역의 벤처기업 육성 역량이 더욱 줄었다는 뜻이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예산 대폭 삭감 등 정부의 중소·벤처기업 지원 축소가 지방 소재 벤처기업의 경영난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근본적으로는 지역에서의 기업활동이 더 어려워졌다는 뜻으로 풀이될 수 있다.

벤처기업은 태생상 기술적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는 네트워크가 필수다. 인적·물적 자원이 풍부한 수도권에 집중될 수 밖에 없다. 수도권 외 지역에서 벤처기업을 육성하려면 수도권에서 얻을 수 있는 편익 이상이 제공돼야 한다는 의미다. 임대료를 지원하거나 폐공장을 벤처특구로 지정하는 등의 지원은 지금도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이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벤처기업 도전을 응원하고 실패를 용인할 위험비용의 최소화와 분산화가 필요하다.

각 지역별 산업특성과 연계된 선택과 집중도 중요한 부분이다. 각 지역별로 강점이 있는 산업과 연결된 벤처기업을 집중 육성함으로써 산학연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

구글도, 마이크로소프트도 벤처기업에서 시작했다. 벤처기업의 활성화는 지역경제 육성의 기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