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사당·대통령 집무실 설치 등 ‘충청신수도권 시대’ 신호탄
대전·세종·청주 거점 철도대동맥 형성 초광역화가 곧 균형발전
진천 거쳐 경기 동탄 최대치 확장 ‘수충권 메가시티론’도 거론

[충청투데이 이민기 기자] 수도권 일극화에 대응하는 광역생활경제권(이하 메가시티) 구축이 부산·울산·경남 등 전국 곳곳에서 무산될 위기에 놓였다. 정상적으로 추진되는 곳은 충청권을 비롯해 최근 ‘맞손’을 잡은 충남도와 경기도 등을 꼽을 수 있다. 하지만 논의가 진행 중인 곳이나 사실상 백지화된 지역 모두 메가시티를 구축하기 위해선 이를 뒷받침할 첫 번째 수단으로 광역철도가 필요하다는 공통된 견해를 갖고 있다. 메가시티 구축과 광역철도는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란 얘기다.

7일 충청권 4개 시·도와 정치권에 따르면 국회 국정감사를 통해 메가시티와 직결한 광역철도 건설론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조오섭 의원(광주 북구갑)은 지난 3일 국토교통부와 한국철도공단으로부터 제출 받은 국감 자료를 근거로 광주·전남을 관통하는 철도 노선의 여유 용량을 활용하면 저비용으로 광역철도를 건설할 수 있다고 밝혔다.

조 의원은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수도권과 경쟁 가능한 메가시티를 만들기 위해서는 광역철도 구축은 필수"라고 역설하기도 했다. 민선 8기 들어 광주·전남 행정통합 추진이 지지부진한 대목과 별개로 메가시티 구축의 ‘첩경’(捷徑)은 광역철도 건설이란 점을 공표해 유의미하다는 평이다.

부산·울산·경남(부·울·경) 역시 울산시를 중심으로 ‘울산권(KTX울산역~경남 양산~부산) 광역철도 건설’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국토부는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울산권 광역철도 등을 반영(2021년 6월 29일)했다.

부·울·경도 광역철도를 통한 3개 시·도 생활권 형성이란 동남권 구상안을 제시한 것이다.

다만 경남도가 지난달 19일 부·울·경 특별연합(2023년 1월 1일 출범)에서 손을 뗀데 이어 26일 울산시까지 "특별연합 참여를 잠정 중단한다"고 공식 선언함에 따라 부·울·경 초광역화 여부는 불투명해졌다. 경남도와 울산시의 불참 이유는 특별연합 출범이 실익이 없다는 판단에서다.

대구·경북 행정통합도 홍준표 대구시장이 취임(7월 1일) 이후 첫 기자회견에서 통합에 부정적 의견을 피력하면서 초광역화 여부는 ‘미지수’에 빠졌지만 경북도는 1월 대구~포항 광역철도 건설 추진을 결정했다.

기존 대구선(동대구~하양~영천), 중앙선(영천~아화), 동해선(서경주~안강~포항) 등 3개 노선을 연계해 생활권을 묶겠다는 게 기저에 깔려 있다.

이에 대해 이철우 경북지사는 "대구·경북 경제통합은 물론 메가시티 구축을 앞당길 수 있다"고 전망했다.

각 권역의 사례는 초광역화의 첫 걸음은 정시성·속도·대량수송 측면에서 장점을 가진 광역철도를 연결고리로 삼은 도시 ‘연담화’(連擔化)란 점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국가균형발전을 지향하는 메가시티 구축에는 편리한 교통망이 전제돼야 한다는 것이다.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21~2030년)의 방향성 역시 ‘맥’을 같이하고 있다.

수도권에 다수의 광역철도 노선이 건설·운영돼 수도권 확산발전에 큰 영향을 미쳐온 반면 비수도권은 지방 대도시권 내 이동을 지원하는 광역철도가 부족해 지방광역경제권 발전을 더디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국토부는 4차 계획 설명자료에서 진단했다.

충청권에서는 세종 국회의사당과 대통령 세종집무실 설치가 유력하다며 청주도심을 통과하는 광역철도 노선안이 초광역화의 ‘기폭제’를 넘어 충청신수도권 시대를 여는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는다.

이는 대전, 세종, 청주를 거점으로 이른바 ‘철도대동맥’을 형성하고 초광역화를 이루면 질적·양적 규모의 경제를 통한 지역 자체의 성장이 가능해 짐에 따라 이를 발판으로 행정수도 세종시 완성에 접근하고 나아가 서울에 인구와 경제력 등이 집중된 탓에 초래된 국토 불균형의 위기까지 바로 잡자는 ‘밑그림’이다.

한편 초광역화를 최대치로 확장해 수도권과 충청권을 광역철도로 묶는 ‘수충권 메가시티론’도 거론된다.

대전·세종·충북의 광역철도 에다가 진천을 거쳐 경기 동탄을 연결해 산업발전의 새로운 방안 등을 모색하자는 게 골격이다.

이민기 기자 mgpeace21@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