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충규 대전대덕구청장

[충청투데이 노세연 기자] 지난 2003년 국가균형발전특별법 등 이른바 ‘지방분권 3대 특별법’이 제정된 지 어느덧 20년 가까이 흘렀다. 하지만 애초 법 제정 취지와 달리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는 오히려 커졌다.

범위를 좀 더 좁혀 대전시만 보더라도 5개 자치구 간의 격차도 갈수록 심화돼 왔다. 대전시청 등 행정기관이 대거 둔산동으로 이전되고, 서남부권에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며 서구·유성구는 급격히 팽창된 반면 상대적으로 동구·중구·대덕구는 정체 또는 낙후됐다. 지역 간 발전의 기회균등을 촉진하고 지역의 자립적 발전역량을 증진하는 ‘국가균형발전’정책이 145만명이 살고있는 대전에서조차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것이다.

다행히 대전시가 이 같은 불균형 발전을 인지하고 대전역세권 재정비촉진사업, 중앙로프로젝트, 주거환경개선사업 등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대규모 프로젝트가 추진되면서 서서히 가시적인 성과들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대덕구는 이같은 원도심 활성화 사업 추진에서 매번 후순위로 밀리는 안타까운 상황들이 지속됐다.

대전산업단지, 대덕산업단지 등 환경오염 지역이라는 불명예 타이틀을 감수하며 대전경제의 중심축 역할을 감당해 온 점을 감안할 때 정책적 배려가 늘 아쉬웠던 지역이 바로 대덕구였다. 단편적인 예로 대전산업단지 재창조사업을 들 수 있다.

대덕구의 숙원사업인 대전산업단지 재창조가 길을 찾았다고 본다. 이 사업은 사실 오래전부터 추진됐지만 부분적으로만 진행돼 제대로 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때마침 기회가 왔다. 윤석열 정부가 대전산업단지의 기능을 고도화하고, 미래산업 중심으로 전환해 ‘스마트그린혁신산단’을 조성하고, 청년창업 기지화를 공약했다.

대덕구는 대전산업단지 재창조사업 외에도 △충청권 광역철도 △대전연축 도시개발지역 공공청사 용지 복합개발 △트램노선 회덕역 연장 △대덕구 신청사 건립 등 굵직한 현안 사업들이 줄줄이 대기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현안 사업이 앞으로 5~7년 사이에 제대로 이뤄져야 대덕의 가치를 높이고 구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중국 사기(史記)에 ‘득시무태(得時無怠)’라는 말이 있다. 기회가 왔을 때 태만하지 말고 꽉 잡으라는 의미다. 그야말로 대덕구는 대도약의 호기를 맞고 있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와 대전시의 전폭적인 지지와 정책적 배려가 절실히 필요하다.

때마침 이장우 대전시장이 대덕구가 처한 상황이 다른 자치구와 다르다는 상황을 인지하고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대전시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는 만큼 시-구 인사 교류 등 열린 행정 구현과 시 현안 사업에 대해서도 적극 협력할 것이다.

필자는 지역 현안과 제가 약속한 공약 사업 추진은 오직 대덕을 위한, 주민을 위한 것으로 정치적 논리에 따라 좌지우지될 사안이 절대 아님을 강조하고 싶다. 산업단지가 몰려있는 지역 경제의 핵심인 만큼 대개조 사업을 통해 노후화된 산업단지를 재정비하고, 일자리를 확충해 대덕의 경제 지도를 다시 만들어나갈 것이다. 단순한 미사여구로 따라붙는 ‘대덕 토박이’ 구청장을 넘어 구민의 일상이 즐거운 대덕을 만들어나갈 것이다.

더 낮은 자세로, 더 가까운 곳에서 대덕구민의 따뜻한 구청장, 대덕 발전을 위해 분골쇄신하는 구청장이 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

노세연 기자 nobird@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