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2030년 도시기본계획’ 마련
10여년 경과… 내·외부 환경 변화 발생
중심지 체계 새롭게 분석·도출 제시
기존 둔산·원도심 ‘2핵 체제’였지만
유성·노은·관평, 1차 중심지에 추가
용문·낭월·신동 등 중심지 설정 안돼

드론으로 활영한 대전시의 전경. 대전시 제공
드론으로 활영한 대전시의 전경. 대전시 제공

[충청투데이 노세연 기자] 약 10년 전 수립된 도시 계획이 오늘날 지역 안팎의 상황과 괴리를 보인단 지적이 잇따르면서 현 대전시 중심지 체계를 새롭게 분석·도출한 도시모델이 제시됐다.

대전의 중심지를 1~4차 구간으로 나누고 현 지역 여건을 반영해 중심지 9곳을 새롭게 추가한 형태다.

대전시는 지난 2013년 ‘2030년 대전도시기본계획’을 마련한 바 있다.

문제는 해당 계획이 수립된 지 10여년이 경과되면서 다양한 지역 내·외부 환경 변화가 일어나 현실과 다소 동떨어진 측면이 생겨났다는 것.

기존 도시기본계획에선 둔산·원도심을 중심으로 유성·진잠·신탄진이 부도심 역할을 수행토록 명시됐다.

하지만 현재 단위면적 당 토지가격 등 요인을 고려하면 진잠·신탄진은 중심지로써 위계가 낮아지게 된다.

이처럼 기존 도시계획이 현실과의 괴리를 나타내자 대전세종연구원은 △공시지가 △건축물 연면적 △사업체수 △카드사용액이라는 4개 지표에 기초한 새 도시체계를 제시했다.

이를통해 대전의 행정구역을 분석한 결과 기존 핵·거점·생활권으로 구분됐던 도시체계는 1~4차 중심지로의 재구획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계획에선 둔산·원도심을 주축으로 ‘2핵’ 체제를 구성했지만 이번 연구에선 두 지역 이외에 유성·노은·관평 지역을 추가해 ‘1차 중심지’로 분류했다.

생산·소비·문화 활동과 관계된 지표를 분석한 결과 총 5개 지역이 1차 중심지로 도출된 것이다.

이어 동구 용전동이 도시 전반적 측면에서 중추적 역할 수행 중인 것으로 분석되면서 2차 중심지로 단독 선정됐다.

10년 전 도시계획 수립 당시와 달리 최근 9개 지역이 소비·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면서 안영, 전민, 대화, 태평, 복수, 비례, 갈마, 신성, 부사 지역이 새로운 중심지로 선정, 3·4차 중심지에 추가됐다.

반면 기존 계획서 지역거점·생활권으로 지정됐던 용문, 낭월, 신동, 연축, 판암, 학하 6개 지역은 이번 연구에서 중심지로 설정되지 않았다.

본 연구를 수행한 임병호 대전세종연구원 박사는 "한 도시가 경쟁력과 지속가능성을 갖추기 위해선 도시 내외의 여건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도시 구조를 갖출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노세연 기자 nobird@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