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전역 ‘중원역사문화권’ 지정
역사·문화 복원 발판 마련 전망
포럼 열고 문화권 보존 방안 논의
"특징 부각 관광 프로그램 개발 必"

충북 중원문화권 특정지역 지정. 충북도 제공.
충북 중원문화권 특정지역 지정. 충북도 제공.

[충청투데이 이민기 기자] ‘역사문화 정비 등에 관한 특별법’이 시행되면서 전국 8대 문화권에 충북 중원을 비롯해 도내 전역이 중원역사문화권으로 지정된 가운데 성곽(城郭) 조사·연구에서부터 역사·문화 보존 등의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26일 충북도와 정치권, 사학계에 따르면 ‘역사문화 정비 등에 관한 특별법’이 지난 7월 19일부터 시행되면서 기존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마한, 탐라 등 6개 역사문화권 에다가 중원역사문화권과 예맥역사문화권 등 2개가 추가됐다. 역사·문화 보존, 복원은 물론 특히 관광콘텐츠 개발로 이어갈 발판을 마련했다는 전망이다. 문화재청은 도내 11개 시·군에 2023~2026년까지 총사업비 3500억원(예정)을 투입해 중원문화권 문화유산의 역사적 가치조명 및 체계적 보존 정비 등을 계획했다.

이에 충북도는 올해 상반기는 도내 역사문화환경을 조사, 연구, 발굴, 보존, 정비할 수 있는 방안과 근거를 모색하고 내년초부터 2024년 정부예산안 확보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이런 가운데 최근 중원문화연구포럼이 ‘중원문화권 성곽의 조사·연구 성과와 과제’를 주제로 충주세계무술박물관에서 포럼을 개최하고 중원역사문화권의 보존, 복원 등을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화두는 남한강 본류역, 상류역, 영동, 섬강유역 남한강 지류역 등 수계권별 성곽이었다.

중원문화권은 지리적 위치로 인해 육로와 수로를 기반으로 한 교통의 요지였고 이를 차지하기 위해 고구려, 백제, 신라는 거듭 격전을 벌이면서 자연스레 군사적인 목적을 지닌 성곽을 축으로 한 각종 문화가 축적됐고 이에 대한 조사·연구가 중원역사문화를 들여다 볼 수 있는 ‘첩경(捷徑)’으로 꼽힌다.

‘고고학에서 보는 중원문화’란 논문에 따르면 중원지역의 정치·경제적 의미와 지리적 위치는 고대 국가단계에는 접경지역, 신라통일기 이후에는 변경지역으로 역할을 담당했다.

논문은 "접경지역 시기는 서로 다른 집단이 마주치는 곳으로 공간을 점유하는 집단이 자주 바뀌면서 문화양상은 중층구조를 띄고 변경지역 시절에는 중원지역의 경우 신라통일기 당시 중앙과 떨어져 특유의 문화 양식을 보이면서 이주정책에 의한 중앙문화의 이식현상도 볼 수 있다"고 했다.

포럼에서는 탄금대토성, 장미산성(남한강 본류역), 정양산성, 강문동토성(남한강 상류역), 이천 설성산성, 설봉산성(남한강 지류역), 고양 멱절산토성, 서울 양천고성(한강 본류역), 세종 이성, 문경 고모산성(금강, 낙동강 상류역) 등의 축성 과정과 구조적 특징 등에 대한 연구안이 소개됐다.

‘성곽’을 키워드로 중원문화를 관광콘텐츠화 할 수 있는 첫 물꼬가 트였다는 점이 유의미해 보인다.

양시은 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는 "역사문화정비법은 각 역사문화권을 전담하는 연구재단을 두고 역사·문화·관광 콘텐츠를 개발하고 운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며 "중원역사문화권의 특징을 부각한 각종 문화와 관광 연계 프로그램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민기 기자 mgpeace21@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