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고령인구 비율 전국 상위권…2030년 세종 제외 전국이 고령사회
고령자강력범죄·극단적선택 증가세…소득 보장·공동체 의식 회복 의견도

농촌지역의 고령화가 심각해지고 있다. 아이클릭아트 제공
농촌지역의 고령화가 심각해지고 있다. 아이클릭아트 제공

[농어촌 리포트] 고령화의 그늘 인터렉티브 뉴스 보기 https://bit.ly/391ZxLb

[충청투데이 윤지수 기자] 대한민국 고령화의 시계가 빨라지고 있다.

이미 우리 사회는 65살 인구가 전체 20%를 차지하는 초고령화 사회에 다가서고 있다.

그중 시골 동네는 아기 울음 소리가 끊기지는 오래다.

늙어가는 농촌은 농가인구의 노동력 부족과 노인 부양 부담을 비롯해 빈집 증가, 자연재해 취약까지 우리 사회 전반에 심각한 문제를 불러오고 있다.

그럼에도 이곳을 지키는 노인들이 갈수록 많아지는 농촌의 현 상황을 되짚어보고 미래를 이야기하고자 한다.<편집자주>

농어촌 지역의 고령화 위기는 더 가파르고 숨 가쁘게 다가오고 있다.

특히 고령인구는 도시와 농촌을 중심으로 극명하게 발생하고 있다.

통계청 장래인구 특별추계에 따르면 2021년 고령인구 비중이 특별·광역시 지역은 전국 평균인 16.5%보다 낮거나 비슷했다.

충청권에서는 최근 도시 형성이 된 세종이 9.6%로 고령인구 비중이 전체 도시 중 가장 낮았으며 대전은 14.6%로 확인됐다.

반면 농어촌 비중이 높은 도 단위는 고령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충청권에서 충남은 18.3%, 충북 17.7%로 전국 평균을 상회했다.

충남, 충북지역 연도별 농가수 및 인구수. 자료 통계청
충남, 충북지역 연도별 농가수 및 인구수. 자료 통계청

농어촌 고령화는 현재도 진행 중이다.

이 같은 흐름은 농림어업 종사자의 분포에서도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한국고용정보원의 '농림어업 취업자 동향과 특성' 자료를 살펴보면 2021년 기준 농림어업 취업자의 연령대별 비중을 살펴보면 60대가 35.8%로 가장 높다.

이어 70세 이상이 33.1%, 50대가 17.5%로 나타났다.

농림어업 취업자 중 60세 이상 차지하는 비중은 ▲2015년 60.8% ▲2019년 64.2% ▲2020년 65.9%로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농촌의 농가수와 농가인구 감소는 1970년대부터 시작한 도시화 이후 급속도로 얼어붙었다.

충남·충북의 총 개인농가 인구 284만 7128명으로 현재는 40만 명에 그쳤다.

문제는 고령화로 인한 변화가 사회 곳곳에서 부작용을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다.

노인범죄와 자살률이 대표적이다.

금전적 어려움과 심리적 불안함이 고령자 범죄의 증가 요인으로 꼽히는데 실제 지난해 충북 제천에서 60대 여성이 이혼을 요구한 남편을 살해하기도 했다.

2019년 고령자 범죄 비율은 8.4%였으나 2020년과 지난해는 각각 9.3%와 10.2%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전 연령층 중 노년층의 자살률은 심각하다.

충남과 충북의 노년기 자살자 수는 각각 1186명과 736명으로 아동·청년, 중년, 장년 등 다른 연령보다 높은 수를 기록하고 있다.

이외에도 고령화로 인한 빈집과 일손부족이 심각한 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고령인구만 남은 농촌지역의 모습. 사진=윤지수 기자
고령인구만 남은 농촌지역의 모습. 사진=윤지수 기자

점차 산업군으로 기능을 잃어가는 농어촌 고령화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전문가들은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첫 번째로 붕괴된 농촌을 해결하기 위해선 제일 먼저 농촌 공동체 회복이 필요하는 것이다.

또 다른 해결책으로는 낙후된 의료와 복지환경 개선이 꼽히고 있다.

실제 2021 농어업인 등에 대한 복지실태조사 결과 의료기관 방문을 위해 편도 기준 평균 33.3분이 소요돼 접근성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도시와 농촌의 벌어진 소득격차를 해결하기 위해선 농촌기본소득을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박경철 충남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농업인은 농사 말고는 소득이 나올 방법이 도시에 비해 극도로 적기 때문에 일정 부분 농민의 소득을 보장해줘야 한다”며 “혜택범위가 한정적인 농어민 수당을 넘어 포괄적 범위에서 농촌인구 모두에게 소득을 주는 농촌기본소득 등 점진적인 움직임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윤지수 기자 yjs7@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