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상원 대전을지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교수

코로나19로 지난 2년여간 바깥 활동이 제한되고 실내에서도 마스크를 쓴 채 지내면서 신체·정서적 발달에 있어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아이들이 늘고 있다. 특히 마스크 착용이 장기화되면서 영유아들의 언어발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해 서울·경기 지역 국공립 어린이집 원장 및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74.9%가 마스크 사용으로 인해 아동들의 언어 노출과 발달 기회가 감소했다고 응답했다. 이는 교사들의 입모양이 제대로 보이지 않고 말소리가 명확히 들리지 않아 영유아에게 발생하는 부작용이 큰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코로나 시국 속 동여맸던 매듭을 조금씩 풀어나가는 중인 요즘, 우리 아이 언어발달 상태는 괜찮은 걸까?

서로의 얼굴을 마주 보며 하는 의사소통은 상대방이 특정 감정을 포착해가며 언어적 표현 이상의 정보를 얻는 과정이다. 그러나 마스크 착용은 얼굴 인식의 정확도를 현저히 감소시킨다. 아이들은 생후 8개월부터 ‘입술 읽기(lip-reading)’를 시작하고 이를 통해 시각적인 언어 신호에 접근할 수 있는데, 이 과정이 방해를 받는 만큼 마스크 착용은 아이들의 언어발달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보통의 경우 생후 1~6개월에는 ‘우’, ‘아’ 같은 모음에 가까운 옹알이를 하고, 6~12개월 경에는 ‘맘마’, ‘빠빠’ 등 단숨에 여러 음을 낸다. 돌부터 18개월까지는 완벽히 발음하지 못해도 익숙한 단어의 뜻을 인지하고 18개월부터 두 돌까지는 두 단어를 결합하거나 간단한 단어로 자기의 감정이나 생각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이후 2~3살 경에는 명사와 동사를 결합해 표현하고 이후 3~4개의 단어로 된 문장을 구사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24개월까지 발화(發話, 소리를 내어 말하는 현실적인 언어 행위)하지 못하거나 36개월이 넘도록 두 단어를 이용한 문장이 없는 경우에는 늦지 않은 시기에 전문의를 찾아 상담을 받아볼 필요가 있다.

언어발달 장애는 말 그대로 말을 통한 의사소통의 장애가 있는 것을 뜻한다. 소아의 발달 장애 중 가장 흔하며 미취학 아동의 5~10%까지도 보고되고 있다. 여기서 ‘지연’이란 평균적으로 기대되는 발달 수준 보다 느린 경우에 해당하며, 우리가 장애라고 생각하는 ‘의미 있는 지연’이란 하위 5% 미만을 주로 의미한다. 단순 언어장애는 언어발달 속도나 수준이 또래보다 6개월에서 1년 이상 늦는 경우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유형일뿐더러 최근 이를 의심해 상담을 받는 사례가 늘고 있다.

언어발달 치료를 위해서는 아이의 현재 언어발달 수준을 평가한 후 적절한 목표를 설정한다. 치료의 목표는 언어발달 향상과 의사소통 능력을 증진하는 데 있다. 만약 청각장애, 지적장애, 자폐증 및 자폐 스펙트럼 장애, 뇌성마비 및 뇌병변 질환 등 언어발달 장애를 일으키는 복합적인 문제들이 동반된다면 해당 질환에 대한 치료와 언어치료를 병행한다.

언어발달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부모의 지속적인 관심과 적극적인 의지다. 초기 평가 시 아이의 평소 언어에 대한 문진이 상태를 평가하는 중요한 단서가 되므로 언제부터 첫 발화가 시작됐는지, 현재 할 수 있는 말과 이해하는 말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등을 메모해 두는 것이 좋다.

특히 언어발달 치료 중 부모에게 필요한 자세는 ‘기다려주는 것’이다.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스스로 말할 수 있도록 기다려주고, 말하길 재촉하거나 채근하지 않아야 한다. 만약 상황 자체에 대한 스트레스가 따를 경우 또 다른 정서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