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구도심에 머물렀던 빈집, 도심 사회문제로 번져
농어촌은 고령화·인규유출, 도심은 도시 개발 주원인

[충청투데이 윤지수 기자]충청권 빈집이 도시 농촌 상관없이 우후죽순으로 늘어나면서 체계적인 관리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빈집은 농어촌 고유의 문제였지만 최근 도심에서도 빈집문제가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어서다.  

여기에 도심 내에서는 원도심과 신도심, 농촌 내에서는 시·군단위별로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는 점도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오랜시간 사람의 흔적이 사라진 대전 유성구의 빈집. 멀쩡한 외관과 우편물만 덩그러니 놓여있다. 사진=윤지수 기자 
오랜시간 사람의 흔적이 사라진 대전 유성구의 빈집. 멀쩡한 외관과 우편물만 덩그러니 놓여있다. 사진=윤지수 기자 

도시의 빈집발생은 매매, 임대, 이사, 미분양, 미입주 등 도시주택시장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낙후한 도시 개발을 명목으로 민간 또는 공공영역에서 진행하는 재개발재건축 등 도시정비사업에 따라 주택이 철거되면서 빈집이 생긴다.

충청권은 도시, 농촌지역마다 빈집 차이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2006년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 등 급격한 도시개발이 이뤄진 세종은 개발에 따른 공간적인 빈집 발생 특성을 보여준다.

신도시와 읍면지역으로 구분되는 세종의 ‘세종시 빈집의 공간특성 분석 및 효율적 관리를 위한 연구’ 속 농촌빈집실태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읍면지역 빈집 수는 419호다.

전체 빈집의 20.3%가 전의면에 집중됐으며 부강면(65호), 연기면(52호), 금남면(50호)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세종시 빈집 분포도는 공간적 상관성을 가지고 있다. 공간적 상관성에 따라 인접지역 평균이상 값을 나타내는 HH유형이 세종시 동부, 장군면과 행복도시 경계부분에서 강하게 나타났다.

이는 시간이 흐를수록 방치되고 군집을 이루는 빈집이 점차 주변지역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충남과 충북의 농어촌 지역은 고령화, 인구유출 등이 주원인으로 나타난다.

농촌지역은 새로운 인구 유입 대신 노인인구가 사망한 경우 소유자가 불분명해지거나, 해당 가구에 사람이 살지 않고 장기간 방치되는 구조로 빈집이 발생한다.  

실제 충남의 15개 시군 빈집을 살펴보면 빈집이 가장 많은 상위 3곳은 서천군 592호, 홍성군 575호, 천안시 465호로 군 단위 지역이 대부분이다.

충북의 빈집은 보은군(341호)과 옥천군(298호)로 전체 11기 시군 중 가장 많았다.

여기에 시보다 주거환경이 열악한 군 단위의 빈집은 관리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빈집은 상태에 따라 4등급으로 나뉘는데 군 단위 지역이 정비 대상인 3, 4등급을 대다수 차지한다.

충남에선 4등급 빈집이 957호로 조사됐고 부여군 167호, 서천군 105호 등 세 자리 수를 나타내고 있다.

등급이 낮은 빈집의 경우 개보수 가치가 적고 안전사고 위험이 큰 만큼 주택정비가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은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원도심, 농어촌 쇠퇴를 막기 위해 체계적인 관리가 조속히 시작돼야 한다는 의견을 강조하고 있다.

충북 지자체 관계자는 “도심지역은 도시 쇠퇴에 따라 공가가 많이 발생하고 농어촌 지역은 고령화, 인구유출로 빈집이 발생하는 상황”이라며 “점 단위로 발생한 빈집은 면 단위로 번지는 양상을 띠고 있어 대대적인 빈집 실태조사 및 예측을 통해 사전에 예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윤지수 기자 yjs7@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