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 부정선거 일주일 앞두고 대전고 학생들 독재정권 타도 외쳐
대전시, 충청권 유일 시민정신 육성 위한 계승발전 기본계획 추진
기념관 건립 등 진행하지만 청소년 대상 교육 사업 부재 아쉬워

[충청투데이 한유영 기자] 충청권 최초의 학생 운동이자 지역 민주운동의 효시인 ‘3·8민주의거’가 국가 기념일로 지정된 지 4년 차에 접어들면서 숭고한 민주주의 정신에 주목한 계승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3·8민주의거는 1960년 3·15 부정선거를 일주일 앞둔 3월 8일 대전고등학교 학생 1000여명이 거리로 나와 독재 정권 타도를 외친 민주적 저항운동이다.

대구 2·28의거, 마산 3·15의거와 함께 전국학생시위의 단초를 제공해 4·19혁명의 도화선이 됐다는 평가를 받았음에도 저평가를 이어오다 2018년에야 국가기념일로 지정됐다.

대전시는 충청권에서 유일하게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3·8민주의거 정신을 대전의 시민 정신으로 육성하기 위한 정책 추진에 나선 상황이다.

오는 2025년까지 국·시비 포함 215억원을 투입해 ‘3·8민주의거 정신 계승발전 기본계획’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1960년 당시 시위대가 행진 했던 구간을 3·8민주의거 거리로 조성하고 기념관을 건립하는 등 각종 사업이 추진 중이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 사업의 부재는 아쉬움으로 지목되고 있다.

3·8민주의거가 학생들을 중심으로 촉발됐던 만큼 국가기념일 지정 당시 대전시와 대전교육청은 청소년 교육을 중심으로 함께 추진할 사업 발굴에 나설 예정이라고 밝혔으나 현재까지 협업 사례는 단 한 건 도 없었다.

민주시민 양성의 요람인 학교에서 3·8민주의거 정신 계승 노력이 부족하다면 3·8민주의거 정신을 토대로 민주시민을 육성하겠다는 목표도 흐려질 수 밖에 없다.

이는 곧 청소년을 대상으로한 3·8민주의거 정신과 역사적 가치·의의 교육이 강화돼야 하는 이유로 지목되고 있다.

최우영 충남대 명예교수(3·8민주의거 기념사업회 고문)는 "3·8민주의거를 직접 겪은 이들은 역사를 왜곡하거나 지나치게 확대하지 않고 있는 사실 그대로의 역사를 전달하기 위해 강의와 교육 등에 참여해 목소리를 내왔지만 이제는 다들 80살이 넘었고 앞으로 이 역사적 사건을 생생하게 교육해줄 사람들은 점차 사라져 갈 것"이라며 "현재 초·중·고등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사들부터 3·8민주의거를 정확히 인지하고 의미와 숭고한 정신을 계승하도록 하는 교육의 장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충청권 민주화 운동의 상징이자 민주 정신이 지역의 뿌리가 될 수 있도록 지자체와 교육청의 노력은 물론 시·도민들의 각별한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유영 기자 yyh@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