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약수터 먹는물 일부 부적합 판정 비상
대전 5년간 766건 검사 결과 314건 ‘부적합’
40.5% 차지… 총대장균군 가장 많이 검출돼
세종지역 30.7% 부적합… 충남 16.7% 달해
전문가들 "환경 정비·수질개선 설비 설치를"

2021년 충청권 약수터 수질검사 결과 = 충청투데이 그래픽팀.
2021년 충청권 약수터 수질검사 결과 = 충청투데이 그래픽팀.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충청권 약수터 일부 수질이 정상 기준을 초과하며 시민 건강에 적신호가 켜졌다.

시민건강과 직결된 문제인 만큼 관할 지자체의 관리감독 강화 및 제도 개선으로 양질의 약숫물 공급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4일 충청권 각 4개 시도에 따르면 먹는물 공동시설(이하 약수터)는 현재 각 관할 구에 의해 관리되며 분기별로 수질검사를 실시해 오염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

현행법 상 먹는물 수질기준은 일반세균 100CFU(㎖), 총대장균군 ND/100㎖, 분원성대장균군·대장균 ND/100㎖, 우라늄 ㎎/0.03ℓ 이하일 때만 적합판정으로 보고 있다.

검사결과를 분석한 결과 인근 토양의 오염물질 유입, 야생 및 애완동물 분변 등 다양한 영향으로 먹는물 수질기준을 초과하는 경우가 상당했다.

우선 대전은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 간 766건의 수질검사를 실시, 이중 먹는물 수질기준에 부적합한 시료는 314건으로 무려 40.5%에 달했다.

부적합 판정의 원인으로 검출된 미생물은 총대장균군이 296건(78.3%)으로 대부분이었다. 나머지는 △분원성대장균군 52건(13.8%) △비소 15건(4.0%) △일반세균 14건(3.7%) △우라늄 1건(0.3%) 순이다.

실제 비소와 우라늄이 검출된 3개소는 지난해 관할구청에서 폐쇄한 상태며 대전보건환경연구원은 원인을 지질학적 자연발생적 오염으로 보고 있다.

충청권 내 다른 지역들도 상황은 비슷하다.

충남은 지난해 약수터 수질검사 233건을 실시했고 이중 부적합 시료는 총 39건(16.7%)으로 나머지 194건이 적합(83.2%)으로 조사됐다.

충북은 수질검사 252건 중 부적합 32건(12.6%), 적합이 220건(87.3%), 세종은 13건 중 부적합 4건(30.7%), 적합 시료는 9건(69.2%)으로 집계됐다.

이들 지역 역시 수질 부적합 항목에서 대부분 총대장균군이 다수 검출됐으며 일반세균도 일부 포함됐다.

특히 총대장균군은 축산폐수, 분뇨처리장 배출수의 혼입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은데 사람과 가축의 내장에 서식해 수인성 질병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전문가들은 약수터 수질개선 방안으로 크게 주변환경 정비, 수질개선설비 설치를 꼽으며 음용 안정성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주변환경 정비로는 약수터 주변 산지의 불법경작 행위 금지, 정기적 시설 관정 및 물탱크 청소를, 수질개선 설비로는 자외선 살균설비, 라돈 저감시설, 우라늄 제거장치 등을 활용하는 것을 제시했다.

대전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먹는물공동시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선 각 시설의 수질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수질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며 "수질 부적합 원인을 제대로 파악해 적절한 개선조치를 취해 시민에게 안전하고 깨끗한 물을 공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