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세연·대전본사 취재2부 교육문화팀 기자

[충청투데이 노세연 기자] 사상초유의 코로나19(이하 코로나) 사태가 발발하면서 교육계도 2년째 몸살을 앓고 있다. 교내 밀집도 조정은 물론 전면 원격수업까지 불사하며 학교 내에서 이뤄지는 집단감염을 막고자 애썼지만 안타깝게도 코로나의 손길을 피할 수 없었고 학생들의 기초학력저하라는 막대한 부작용까지 생겨났다. 11월 이전 단계별 사회적 거리두기 시기엔 단계가 조정될 때마다 학생·학부모들 사이에서도 종종 우려의 의견이 나오긴 했으나 정부를 향한 직접적 지탄 시위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하지만 코로나 백신이 등장하고 나서부터 학부모와 정부의 관계는 급격히 얼어붙었다. 백신도입에 따라 교육 분야에서도 ‘학교 단계적 일상회복’이 시작됐고 학부모들은 즉각 각급학교의 일상회복 이르다며 반발에 나선 것이다. 이에 교육부는 학교 일상회복이 단계적·점진적으로 추진될 예정임을 설명하며 교육 분야 일상회복을 강행했다.

단 학생들의 백신접종은 일체 ‘선택’임을 발표하며 학부모들을 안심시켰는데, 이러한 약속은 얼마 지나지 않아 번복되고 말았다. 국내 전 연령층에서 코로나 확진자가 폭증해 다급해진 정부가 청소년의 백신접종을 급히 ‘자율’에서 ‘강력권고’로 선회한 것이다.

현장의 목소리를 담기 위해 교육 기자로써 취재에 나서면 비판의견이 들끓고 있음을 강하게 느낄 수 있었다.

굳이 관련 시위현장에 가지 않아도 백신의 안전성을 우려하는 학부모들을 쉽게 만날 수 있었고 흔쾌히 접종을 허락한다는 학부모는 손에 꼽았다.

취재를 위해 시민들을 만나보며 느낀 점은 학부모들은 무조건적인 반대를 주장하기 보단 충분한 ‘설명’과 ‘선제 조치’를 원한다는 것이었다.

백신의 안정성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가 부재하고 백신 부작용을 책임을 국가에서 돌보지 않는다는 인식이 뿌리 깊게 내려앉은 상황에서 정부와 학부모 간의 소통은 무엇보다 중요했다. 청소년 백신접종에 대한 반발의사는 곧 저조한 접종률로 나타났고 정부는 급기야 ‘청소년 방역패스’라는 다소 우려스러운 수를 뒀다. "학습권을 담보로 백신을 강제하다니 치졸하다", "내 자녀의 목숨이 최우선이다"와 같은 격렬한 학부모들의 거부 반응을 보며 ‘탁상행정’이라는 단어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었다.

단순히 미접종 학생들에게 교육시설 등을 봉쇄해 접종률을 높이겠단 논리는 학부모들의 불안을 잠재우기보단 신뢰를 더욱 떨어뜨리는 것에 가까웠다.

거센 비판여론이 이어진 끝에 청소년 방역패스는 결국 세부시행방침 조정기간을 가지게 됐다.

과연 정부가 신뢰를 회복할 정책을 내놓을지 온 국민이 지켜봐야 할 시점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