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지수·취재2부 교육문화팀 기자

▲ 윤지수 기자
▲ 윤지수 기자

[충청투데이 윤지수 기자] ‘학령인구 감소 현실화’, ‘벚꽃피는 순서대로 망한다’, ‘지방대학의 위기는 지역의 위기’

입시철을 코 앞에 두고 귀가 닳도록 수도 없이 들었던 이야기다.

올해도 어김없이 입시는 다가왔고 이미 한 차례 미달 위기를 겪은 대학들의 한숨은 더 깊어졌다.

문제는 올해도 내년에도 앞으로도 한숨은 계속될 것이라는 점이다.

최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의 ‘미래전망전문가포럼’를 통해 발표한 ‘인구변동과 미래 전망 : 지방대학 분야’ 보고서를 살펴보면 25년 뒤 국내 대학 절반 이상이 사라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042~2046년 국내 대학 수는 190개로 집계됐다.

현재 국내 대학이 385곳으로 25년 뒤에는 절반만 살아남는 셈이다.

충청권 지방대도 예외는 아니다.

특히 25년 뒤 17시 시·도 중 대학 생존율이 75%를 넘긴 곳은 서울이 81.5%와 세종 75.0%로 단 두 곳 뿐이다.

대전이 41% 충남과 충북은 각각 57%와 55%로 나타났다.

이는 인구 감소에 따른 영향으로 미래 시나리오에는 지방 대학의 암울한 앞날이 그려졌다.

학생수 감소는 등록금 감소와 비정규직 교직원수를 가져와 낮은 교육의 질과 경쟁력을 약화시킨다는 것이다.

결국 학생들은 교육의 질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도권 대학 선호도를 보이며 지방대학에 대한 선호도는 더 낮아지고 격차는 벌어진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입시는 계속된다.

코로나19(이하 코로나)로 약 2년 만에 대면으로 열리는 박람회로 열기는 어느 때보다 뜨거웠다.

대전에서는 대전충청권 4년제 대학 14곳이 참여한 2022학년도 정시 대전지역 대학입학정보박람회를 열었다.

대학들이 박람회를 환영하는 이유는 학생유치에 ‘대면’ 모집이 탁월하기 때문이다.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 박람회보다는 맞춤형으로 입학지원 상담이 가능한 박람회가 더 효과적이지만 정원미달을 해결하기엔 역부족이다.

그럼에도 대학은 살아가야 한다.

지역에 있어 지방대의 존재는 청년일자리, 지역인재 양성 등 위기를 해결할 수 있는 열쇠로 교육기관 그 이상 가치를 지닌다.

학령인구 감소 위기는 수년 전부터 예견돼왔다.

미루다 결국 여기까지 왔다는 씁쓸한 푸념도 들린다.

암울한 전망 속 한줄기 빛을 보기 위해서라도 돌파구가 필요하다.

윤지수 기자 yjs7@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