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한 대전시 보건복지국장

▲ 이동한 대전시 보건복지국장

25년 넘게 끌어온 대전의료원 설립 사업이 기획재정부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가 통과 되면서 현실화 됐다. 이번 결과로 그동안 쟁점사항이었던 총사업비, 사업규모 등의 사업계획이 확정되면서 사업의 밑그림이 그려졌다. 오랜 기간 동안 시민사회, 지역 정치권, 지자체 등이 함께 이뤄낸 쾌거다.

하지만 아직 축포를 터뜨리기에는 이르다. 기획재정부와 한국개발연구원(KDI)이라는 큰 산을 넘긴 했지만, 대전의료원이 100년 이상을 시민의 공공보건의료 안전망 역할을 해 나가기 위해서는 건축, 설비 등의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의료운영체계와 기능 등의 소프트웨어를 구축하는 일을 해나가야 하기 때문이다.

우선 대전의료원 설립을 위해 시민, 지자체, 정치권, 의료계 등 설립 관계자들이 지속적으로 공감대를 형성해야한다. 지방의료원 포럼, 심포지엄 등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시민들과 소통의 장을 마련하여 대전의료원 설립의 방향성이 올바르게 유지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한다.

둘째 대전의료원이 제공할 의료서비스에 대한 정립이 필요하다. 대전의료원은 민간병원과 경쟁하기 위해 설립되는 종합병원이 아니다. 대전의료원이 100년 이상을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현재 민간 병원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분석을 통해 민간병원이 놓치고 있는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재난이나 코로나-19 등 신종 감염병 대응을 위한 격리치료센터를 구축하여 감염병 상황에 대응하는 시스템을 만들고 민간병원이 충당하지 못하는 의료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스마트병원 도입을 위한 준비를 해야 한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는 빅데이터, 5G,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의료서비스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대전 의료원은 KAIST, 대덕연구단지와 같은 과학기술인프라가 풍부한 대전에 위치하여 ICT를 활용한 스마트 병원 도입의 최적의 조건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장점을 활용하여 의료기기 테스트베드, 공공보건의료데이터센터 운영을 할 수 있는 스마트한 병원으로 거듭나야한다.

전국 34개 지방의료원이 코로나19 확진자의 80%이상의 격리 치료를 담당하는 등 공공병원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뜨겁다. 반면 대전은 지방의료원 부재로 인해 전문 의료진, 격리 치료병상 부족 등 해결해야 할 많은 과제를 남겼다. 대전의료원의 설립은 코로나가 우리에게 남긴 문제점을 풀 수 있는 열쇠가 될 것이다. 대전의료원 설립을 공공의료체계 구축의 시발점으로 삼고 전국의 지방의료원이 대전의료원을 롤모델로 삼을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해 나가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