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남 시설수 증가했지만
뒷받침 인력·환경 부족… 악순환
소규모 운영 이유 후원모집 난항

[충청투데이 윤지수 기자] 아동·청소년·장애인·노인 등 보호가 필요한 이들이 함께 살아가는 공동생활가정(이하 그룹홈)의 보금자리가 위태롭다.

그룹홈은 갈수록 늘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종사자의 업무는 많고, 인지도 또한 낮아 후원 모집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어서다.

20일 보건복지부 ‘2021 공동생활과정(그룹홈) 현황’을 살펴보면 충청권에서는 대전과 충남이 증가했다.

직전연도와 비교해 대전의 시설수는 18곳에서 20곳으로, 충남은 27곳에서 30곳으로 늘었다.

그룹홈 울타리 내에서 살고 있는 보호인원 역시 충청권에 최대 7명가량 늘면서 꾸준한 수요를 보이고 있다.

문제는 이들의 생활을 뒷받침할 인력과 환경은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

그룹홈 특성상 타 복지시설과 달리 24시간 365일 운영하는 데다 행정부터 가사까지 책임지고 있어 업무의 범위가 넓다.

현재 종사자들이 교대근무를 실시하고 있지만 대체인력이 없거나 부족해 초과근무는 일상이 되버렸다는게 업계의 전언이다.

더욱이 그룹홈 인력채용의 경우 업무의 강도가 높아 신입은 이탈률이 높고, 연차가 있는 종사자는 상황을 알고 있어 선뜻 지원을 안 한다는 것이다.

결국 불완전한 인력 수급이 서비스의 질 하락으로 이어져 악순환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대부분 그룹홈이 소규모 운영으로 이뤄지고 있어 후원모집에도 난항을 겪고 있다.

그룹홈 이용자의 낙인화를 최소화 하기위해 그룹홈을 만들었지만 대외적인 홍보는커녕 지인을 통한 간간한 소액후원만 이뤄지고 있다.

대전지역 A그룹홈시설 관계자는 “그룹홈의 개념을 일반 시민이 잘 모르고 있는데다가 시설 노출도 함부로 할 수 없어 후원이 쉽지않다”며 “그룹홈의 특성상 지자체에 의지하거나 개인 인맥을 활용한 소액후원만 하고 있을 뿐 운영난이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복지계는 그룹홈의 수요는 늘어날 것으로 보고 종사자 근무환경 및 시설 개선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B그룹홈 관계자는 “그룹홈을 포함한 쉼터의 보호인원은 항상 만석이다. 장기적으로는 유아, 장애 등의 특수성을 고려해 세분화시켜야 한다”며 “이외에도 종사자들의 사기를 진작시키기 위해선 수당 지급 등 종사자 처우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윤지수 기자 yjs7@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