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수 대전열병합발전㈜ 대표이사

대전열병합발전은 열과 전기를 동시에 생산해 대전시민에게는 지역난방, 산업체에는 증기를 공급한다.

설계수명 30년이 다가와 안전사고 예방과 환경보호, 경쟁력 있는 열을 공급하기 위해 현대화 설비 교체 작업이 시급하다.

대전시는 ‘제6차 지역에너지계획’에서 “열병합발전은 에너지효율이 높아 온실가스 감축과 대기오염물질 저감에 효과적”이라고 명시했다.

우선 명확히 해야 할 점은, 이번 사업이 증설이 아닌 현대화설비 교체라는 점이다.노후설비를 효율성이 높은 최신 설비로 교체해, 열은 동일수준으로 유지하되, 전기만 늘어난다.

이렇게 늘어난 전기는 충남 석탄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전기를 대체해 온실가스를 대폭 감축한다.

‘제9차 전력수급계획’ 발전원 비중을 적용하면 2017년 기준 대전시 전기 사용량의 약 40% 이상이 석탄발전이다.

정부는 2030년까지 대부분의 석탄발전소 폐쇄를 계획하고 있다.

전 세계가 ‘탄소배출 제로’를 지향하고 있어, 정권과 무관하게 이 계획은 되돌릴 수 없다.

그럼 대전 시민과 기업은 필요한 전기를 어디서 구해야 하는가?

LNG는 연소 후 오염물질 배출량이 ‘0’에 가까워 태양력, 풍력과 함께 친환경 대체연료로 각광받는다.

반대 단체는 LNG 사용량이 늘어나 환경오염 물질이 많이 배출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도마·변동지구, 용문동, 용산동, 재개발 중인 대전 구시가지, 신규 산업단지 및 개점을 앞둔 복합쇼핑몰(백화점)에 공급되는 연료도 모두 LNG다.

같은 논리라면 LNG가 사용되는 이 지역 개발 사업을 모두 반대해야 맞지만, 아무 말이 없다.

앞뒤가 맞지 않는다.

두 번째로 난방요금 절감과 입주기업의 전력난 해소다.

설비 교체로 효율성이 높아지면 지역난방 및 산업체의 요금을 낮출 수 있어 경쟁력 확보가 가능하다.

대전시는 일자리 창출과 지역 소득증가를 위해 ‘기업하기 좋은 도시’를 외치며 기업유치를 위해 혼신의 노력을 하고 있지만, 정작 대덕산업단지는 전기가 부족해 입주기업은 증설을 못하고, 신규기업은 입주 자체를 꺼리고 있다.

도대체 이 상황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대전시의 전력자립도는 약 2%로 전국 최저다.

결국 외부에서 전기를 끌어와야 하는데, 송전 손실도 만만치 않아 정부도 지역에서 전기를 생산하는 ‘에너지 분권화 사업’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다.

회사는 지역 주민들의 막연한 불안감과 고민을 누구보다 더 잘 알기에, 사업과정 전반에 대해 설명하고 이해를 구하고 있다.

하지만 반대 단체의 사실 왜곡과 주장으로 지역주민과 기업, 대전시 그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고 있지 않다.

정치적 득실이 아니라, 대전시와 산업체, 대전 시민 모두의 발전을 위한 최선책이 무엇인지 보다 냉철하게 고민해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