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 넘어 10개 시·군 변종 침투했나
3단계+α 거리두기 격상 불구 안통해
충북 1차 백신접종률 41.6% 효과없어
“집단면역 불발 전제 새 방역안마련을”

[충청투데이 이민기 기자] '코로나19' 델타 변이바이러스가 충주에 확산하면서 청주를 비롯해 도내 시·군 곳곳으로 번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이미 충주를 넘어 곳곳으로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침투했다는 해석도 적잖다. ▶관련기사 14면

4일 0시에서 29일 0시까지 일주일 동안 평균 확진규모가 '30.4명'에 달하는 점이 기저에 깔려 있다. 29일째 확진자 1000명대를 기록하고 있는 전국 추이와 궤를 같이하는 것이다. 충청권내 대전(일주일 확진 규모 66.7명)과 충남(48.4명)의 확진규모가 충북에서도 작성될 수 있다는 전망마저 나온다. 충북과 대전, 충남이 지리적으로 인접한 데다 델타 변이 바이러스까지 침투한 것으로 보이는 정황 때문이다. 특히 정부의 '코로나19' 대응에 대변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주목된다.

4일 충북도와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충주발(發)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도내 곳곳으로 전파될 수 있는 매우 우려스러운 상황이다. 충주가 도내 제2의 도시로 꼽히고 있는 만큼 충주발(發) 델타 변이 바이러스의 도내 10개 시·군 침투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이유에서다. 충주와 10개 시·군이 직간접적으로 교류 등 연결고리를 갖고 있다는 얘기다. 충주는 3일 기준 최근 10일간 98명 확진자 가운데 델타 변이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이 절반에 가까운 44명으로 집계됐다.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충주를 강타한 것이나 다름없는 것으로 보인다. 충주시는 5일 0시부터 11일 밤 12시까지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를 적용한다.

의료계 일각에서는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충주 뿐만 아니라 도내 10개 시·군으로 번졌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진단을 내놓는다. 충북의 4일 0시에서 29일 0시까지의 확진자 수가 근거다. 일주일 동안 확진규모는 △4일 45명 △3일 39명 △2일 26명 △1일 17명 △31일 19명 △30일 37명 △29일 30명 등이다. 앞서 충북도가 지난 26일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알파' 격상 조치를 취했음에도 대동소이한 확진 추이가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격상 전후 확진규모는 25일 0시 41명, 26일 31명, 27일 13명 등이다. 충북도의 한 관계자는 "선제적으로 4단계 격상을 검토하지 않을 수 없는 기류"라며 "문제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격상해도 별반 달라지지 않는 상황"이라고 했다. 사회적 거리두기를 4단계로 격상해도 문제 해결이 안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청주시 흥덕구에 거주하는 도민 A씨는 "백신접종을 했지만 백신을 돌파할 수도 있다는 델타 변이 바이러스의 출몰로 여전히 안심하지 못하고 있는데 급기야 델타 플러스까지 등장해 큰 일"이라고 걱정했다. 전날 델타 플러스 감염 사례가 처음으로 확인됐는데 2명의 감염자 모두 백신접종 완료자였다.

의료계의 한 관계자는 백신접종의 효과를 전혀 체감할 수 없어 난감하고 향후 색다른 변이 바이러스가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토로했다. 이 관계자는 "백신접종을 해도 상황은 변화가 없고 4차 대유행에 휩싸인 국면"이라며 "델타 변수가 발생했고 앞으로 또 다른 변이 바이러스의 출몰까지 예상되는데…. 백신접종을 권장하는 입장에서 난감하다"고 말했다. 충북의 1차 백신접종률은 41.66%, 전국적으로는 39.3%를 각각 기록(4일 0시 기준)했다. 현재 확진추이를 보면 백신접종에 따른 전국 항체 형성은 불가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정부는 전국민의 60~70%가 백신접종을 완료하면 연말에 전국적으로 집단면역 형성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다른 의료계의 한 관계자는 "물론 예상치 못한 변이 바이러스의 등장 때문이지만 결과적으로 현재로선 백신접종이 효과가 없다는 점이 수치(數値)로 작성되고 있다"면서 "충북도청이 26일 3단계+알파 조치를 취했지만 변화가 없는데 비록 1곳의 광역도 사례지만 사회적 거리두기 격상이 먹히지 않고 있는 점을 정부는 인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백신접종과 거리두기 수위 조절로 '코로나19'에 대응하고 있는 정부가 일단은 연말 전국민 집단면역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을 가정하고 새로운 대응안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민기 기자 mgpeace21@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