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4개 시·도, 메가시티 과제 목록에 지방은행 설립안 올려
은행 주도 부동산PF 통한 건설사 자금 유동성 확보 기대감 높아

[충청투데이 이승동 기자] ‘돈맥경화’에 시달리고 있는 지역 건설업계가 충청권을 주무대로 한 지방은행 설립 움직임에 들썩이고 있다. 은행이 주도하는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 시장에서 오랜 기간 소외돼 있던 설움을 떨쳐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에서다.

PF는 특정사업의 사업성과 미래 현금 흐름을 보고 자금을 지원하는 금융기법이다. 지어질 건물이나 땅의 가치를 담보로 금융사에서 돈을 빌리는 것으로, 건설사 입장에선 사실상 자금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핵심창구로 통한다. 기업이 ‘흥하느냐 망하느냐’ 결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얘기다.

대전과 세종, 충북, 충남 등 충청권 4개 시·도는 최근 메가시티 전략과제 목록에 지방은행 설립안을 올려놓은 것으로 확인됐다. 낙후된 지역 금융경제, 지역자금 역외 유출, 금융의 수도권 집중에 따른 금융 양극화 심화 등 각종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는 지적을 적극수용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 관계자들이 지역은행으로 방출할 추석자금을 점검하며 옮기고 있다. 충청투데이 DB
한국은행 관계자들이 지역은행으로 방출할 추석자금을 점검하며 옮기고 있다. 충청투데이 DB

지난 1997년 IMF 사태를 겪으며 금융 구조조정으로 사라진 충청권 지방은행(충청은행) 부활의 움직임이 시작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역 건설업계는 지방은행 설립안에 엄지 손가락을 치켜세웠다. 그러면서 지역은행과 지역 건설사 간 ‘윈-윈’을 내심 기대하고 있다. 

대전·세종·충남 주택건설협회 한 관계자는 “광주은행, 전북은행, 부산은행, 대구은행 등 영호남 지역은 지방은행의 건재함으로 건설사의 PF일으키가 상대적으로 수월한 것으로 안다. 반면 지역에 본부를 둔 전국구 은행의 경우 본사 거부 등 제약이 많은 것으로 안다”면서 “지방은행은 기업과 은행 간 서로 상생할 수 있는 길을 찾아내야만 한다. 지방은행이 지역을 기반으로 성장하려면 지역 업체를 끌어안을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역 개발업계 역시 지방은행 설립 움직임이 반가운 눈치다.
지역 한 시행사 대표는 “지역은행이라고해서 지역 업체의 사정을 더 봐줄 수 없다는 점을 잘알고 있다. 그러나 지역 사정을 인지하고 있다는 점은 큰 메리트가 될 수 있다”면서 “지역업체나 현안사업 이해도가 높을 수 밖에 없다. 지역 건설경기 회복 등 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지방은행 설립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