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는 2012년 출범 당시 기업체 수가 6600여 곳에서 지난해 1만 2000여 곳으로 외형적으로는 두 배가 늘었다. 하지만 내실을 따져보면 얘기가 달라진다. 연 매출 50억 원 이상을 올리는 기업체는 200여 곳에 불과하다. 더 큰 문제는 활발한 생산활동을 통해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경기 생태계를 지탱하는 대기업이 많지 않다는 데 있다. 고용효과를 창출하고 경기 선순환 구조를 통해 지역경제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는 대기업의 존재감을 찾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뛰어난 성장 잠재력을 갖춰 중장기적으로 기대를 할 만한 강소기업도 좀처럼 눈에 띄지 않는다.

세종시가 국토균형발전이라는 국가적 어젠다를 통해 탄생한 만큼 중앙행정기관 이전과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 등 행정수도 완성만으로 애초 출범 목표를 달성한다고 할 수는 있다. 물론 맞는 말이다. 하지만 행정수도 기능과 함께 중장기적인 도시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자족기능도 갖춰야 한다. 행정수도라는 상징적, 외형적인 기능과 함께 지역도시 스스로 자립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는 것도 중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자족기능 확충의 핵심 키워드인 기업유치는 여전히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지 않고 있다. 그동안 국회 세종의사당과 정부행정기관 등에 초점을 맞추다 보니 상대적으로 정책적인 관심과 집중이 부족했던 면도 있다. 대기업이 과감하게 세종시에 둥지를 틀 만큼 매력적인 당근책도 많지 않다. 세제 혜택과 토지가격 할인, 건축비 설비투자비 지원 등을 포함해 세종시 이전이라는 용단을 내릴 만큼 제도적 지원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을 위한 국회법 개정안 등 정치적, 행정적인 노력과 병행해 기업유치를 통해 자족기능 확충에도 정책적인 역량을 기울여야 한다. 자족기능 확충이 도시 성장과 발전을 완성하는 핵심적인 한 축이라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