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본격적인 영농철을 맞아 농가들이 일손을 구하느라 애를 먹고 있다는 안타까운 소식이다. 게다가 품삯마저 크게 올라 농민들은 이중고에 허덕이고 있다. 농촌지역은 요즘 양파, 마늘, 감자 등의 수확이 한창이다. 농작물은 제때 수확을 하지 못하면 상품성이 떨어져 제값을 받지 못한다. 농촌일손 부족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올해는 코로나19의 여파로 상황이 더욱 심각한 실정이다. 농촌인력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외국인 노동자들의 입국이 금지되면서다.

농번기 일손부족 현상은 농촌인구의 고령화, 수요공급의 불일치와 맞물려 있다. 오래전부터 예견돼왔음에도 뾰족한 대책이 없는 실정이다. 농촌지역에서 얼마나 젊은 일손을 찾기가 힘든지 통계치가 말해준다. 2010년 306만 명이던 국내 농가인구는 2019년 224만 명으로 10년간 무려 26.8%나 감소했다. 65세 이상 농가인구 비율은 2010년 31.8%에서 2019년 46.6%로 늘었다. 농촌지역 인구 감소와 고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이다.

언제까지 외국인 노동자들에 농촌일손을 의존해야 하나. 코로나19 영향으로 외국인 근로자의 입국이 막힌 게 일손부족의 직격탄이 됐다. 대체인력을 구하기도 쉽지 않다. 인력부족은 곧장 품삯인상으로 이어지기 일쑤다. 하루 일당이 10만원에서 최고 15만원으로 지난해 보다 3~4만원이나 올랐다고 한다. 그럼에도 '울며 겨자먹기식'으로 인력을 확보해야하는 형편이다. 농가소득은 그대로인데 지출비용은 늘어나니 영농 타산이 맞을 리 만무다.

대학생이나 일부 기업들의 농촌봉사활동 참여가 일손을 덜 수는 있겠으나 근본적 대책은 될 수 없다. 정부와 지자체의 실질적인 지원방안 마련이 절실하다. 충남 서산시가 유휴 노동력을 모집해 일손을 필요로 하는 농가에 중개하는 농촌인력중개센터를 시범 운영키로 한 것도 그래서다. 옥천군의회 곽봉호 의원이 제시한 농촌인력부족 해소방안도 눈길을 끈다. 대도시 인력사무소에 왔다가 일자리가 없어 빈손으로 돌아가는 일용근로자를 활용할 수 있는 정책을 만들자는 제안으로 설득력이 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