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남 대전평생교육진흥원장

대전시의 평생학습정책을 설계하고 뒷받침해온 대전평생교육진흥원이 개원 10주년을 맞았다. 시민 누구나 강사가 되고, 어디서나 누릴 수 있는 평생학습 생태계를 조성한 결과 대전시민의 평생학습 참여율은 10년 전 대비 3.6배 늘었다.

평생학습 통계작성이 시작된 2006년 7.0%에 그치던 평생학습 참여율은 2010년 10.0%로 소폭 늘어나다 2020년 36.1%로 가파르게 증가했다. 만 25~79세 미만 성인인구 10명 중 약 4명이 평생학습에 참여하는 시민학습도시가 됐다. 사회와 기술이 급변하고, 감염병, 기후변화 등 평범한 일상을 위협하는 요소들이 점점 늘어나면서 평생학습의 일상화가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이러한 사회문화적 흐름과 학습참여자의 증가, 학습자들의 평가에 기초하여 대전평생학습 시즌2를 구상해야 할 때다. 결론부터 말하면, 지역과 계층, 세대, 성별, 인종 등에 따른 평생학습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평생교육체계를 확충하고, 풀뿌리 생활권으로 평생학습 생태계를 확장해 보편적 평생학습이 가능하게 하자는 것이다. 평생학습권에 대한 시민요구는 큰데 비해 인구대비 대전의 평생학습시설 수는 전국 평균을 밑돈다. 대전지역 안에서도 지역 간 편차가 크다. 평생교육시설의 격차는 기회의 불평등, 삶의 질 격차로 이어진다. 거주지역의 차이가 시민 삶의 격차로 이어지는 불합리를 해결해야 한다. 평생학습권이 보편적 시민권으로 확립돼야 가능한 일이다.

대전은 2001년 유성구가 전국 최초로 평생교육도시를 선언하고, 2011년 대전광역시가 광역 지방정부로서는 처음으로 평생교육진흥조례와 진흥원을 설립하면서 평생학습도시의 면모를 갖췄다.

광역시-자치구-풀뿌리마을로 이어지는 평생학습체계가 확립되고, 시민들은 가까운 평생학습기관에서 학습할 수 있게 됐다. 변화하는 세상에 적응하기 위한 지식과 기술을 익히고, 타인과 소통하고 연대하며, 정서적으로 연결되었다. 대전의 평생교육 참여자들은 학습을 통해 정신건강을 유지하며(71.9점·2020 대전 시민평생학습 실태조사 결과) 사회참여에 대해 만족(70.1점)한다. 기술습득으로 승진과 취업의 기회를 얻으며 경제적 효능감(57.7점)도 느낀다. 평생학습의 개인적, 사회적, 문화적 가치가 확인되는 부분이다.

대전평생교육진흥원이 운영하는 대전시민대학이나 문해교육과정, 학력인정 대전시립중·고교 학습자들은 학습참여로 만들어진 인적 네트워크 안에서 공동체적 유대와 친밀감을 형성하고, 집단의 사회·정치적 권리를 획득해나가며 사회자본을 축적하고 있다. 코로나19 상황에서도 고립과 단절을 극복하고, 공동체활동을 통해 지역을 풍요롭게 하며, 시민주권을 풀뿌리 지역사회에서 구현하는 바탕에는 자율적 시민학습이 자리한다.

이 토대를 강화하려면 공공 평생학습생태계가 더 풍성해져야 한다. 구별 1개소에 머무는 평생학습전담조직과 79개동 주민자치센터의 평생학습체계로는 부족하다. 마을중심으로 삶에 밀착된 평생학습, 주민의 삶과 학습과 돌봄이 동시 가능한 마을학습체계가 확립돼야 한다. 코로나19로 상징화된 위험의 일상화 시대에 시민들이 건강한 삶을 누리며, 문제해결능력이 있는 민주사회의 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말이다. 평범한 시민들이 만들어낸 삶의 지식과 기술로 더 풍요롭고 정의로운 대전을 만드는 일, 시민지식도시 대전을 꿈꾸는 평생교육진흥원의 다음 십년 목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