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훈 충북시청자미디어센터장

한국 사회를 대표할 수 있는 많은 이미지가 있는데 그중 하나가 아파트이다. 아파트는 한국 근현대사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를 압축해 놓은 현대화의 상징이다.

 우리나라는 경제개발 5개년계획(1967~1971)기간에 본격적인 아파트 건설의 붐이 일어났으며 지금은 한국 인구 70%가 아파트에서 생활을 하는 지구상에서 인구 대비 아파트 보급률이 가장 높은 나라가 대한민국이다.

 이제 둘 이상 모이는 사적모임에는 가는 곳마다 ‘아파트’ 이야기를 한다. '자고 일어났더니 서울 어디는 몇억이 올랐더라'라는 말은 심심치 않게 들을 수 있는 소재이다.

 어느 정부건 최우선 해결과제인 '집값 안정'에서 집은 바로 아파트를 말한다.

 지금도 대형건설사는 우리나라 곳곳에 틈만 있으면 아파트를 짓고 있으며 청약이 시작되면 엄청난 사람들이 몰린다.

 한국에서 아파트 몇 채를 보유하고 있는가는 부의 상징이 되었으며 고급아파트는 극소수만이 누리는 특권이며 함부로 그 영토에 접근할 수 없는 매우 배타적인 공간이 되었다.

 ‘아파트 공화국’의 저자 발레리 줄레조에게는 1990년 한국을 처음 방문했을 때 서울의 대규모 아파트 단지는 충격 그 자체였다. 그녀가 프랑스에 가서 한국의 항공사진을 보여주었다고 한다. 한 친구가 그 사진 속의 아파트 단지를 보고 “이거 무슨 병영 막사나 전쟁할 때 필요한 방어벽 같은데…”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아파트가 주는 이미지는 똑같은 형태의 반복이 무수히 이루어져 그 속에 살아가는 우리는 마치 정보화 시대의 디지털화 된 인간의 익명성을 보는듯 하다. 다시 말해 현대인의 삶은 인공물로 뒤덮인 기능화 된 환경 속에서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그 하나의 디지털화 된 객체로 살고 있다. 한국은 스카이라인과 지하 깊은 곳까지 공동체적 공간은 사라지고 파편화, 획일화된 공간이 지배되는 사회로 가는 것 같아 매우 가슴이 아프다.

 아파트의 화려한 모델하우스와 유명 연예인이 등장하는 광고에는 마치 거기에 살면 귀족이 된 것처럼 착각을 일으킬 정도로 현란한 모습과 광고문구로 우리를 유혹한다. “어느 아파트에 몇 평에 사느냐”가 나의 존재감을 말해준다.

 누군가에게 집이 휴식과 자유, 그리고 안정을 위해 절실할 때 누군가에게는 손쉽게 돈벌이 수단이 된다. 집은 투기의 대상이 되어서는 안 된다.

 동시대를 살아가는 기성세대는 청년들이 아파트는 평생 벌어도 소유할 수 없게 만들었으며 집은 주거가 아닌 주택, 목적이 아닌 수단으로 규정지어 버렸다. 지금 기성세대가 청년들에게 미안해해야 하는 이유이다.

 그나마 넘쳐나는 아파트는 많은데 정작 집이 없어서 애를 태우는 사람이 많은 나라 바로 대한민국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